학술논문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데이트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과 우울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Mediating effects of alexithymia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 multi-group analysis by gender
- 발행기관
- 한국발달지원학회
- 저자명
- 박설아 이승연
- 간행물 정보
- 『발달지원연구』제14권 제1호, 79~9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데이트폭력 가해의 발생 기제를 탐색하기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애착불안과 데이트폭력 가해간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토하였다. 대학생 452명의 자기보고식 설문자료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애착불안과 데이트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으나, 우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애착불안이 감정표현불능과 우울을 순차적으로 거쳐 데이트폭력 가해로 이어지는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애착불안이 타인과의 친밀감에 대한 과도한 욕구와 버려짐에 대한 민감성을 특징으로 함에도 불구하고, 그 자체로는 데이트폭력 가해를 촉발하지 않으며, 감정표현불능을 거치거나, 감정표현 불능과 우울을 순차적으로 거치는 과정을 통해서만 데이트폭력 가해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집단 분석에서는 모든 경로와 간접효과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남성의 경우에만 애착불안이 감정표현불능을 통해 데이트폭력 가해로 이어지는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트폭력 가해의 성별 특성을 고려한 예방과 개입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chanisms underlying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by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alexithymia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while also exploring gender differences. Data from 452 university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lexithymia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while depression did not. Furthermore, attachment anxiety predicted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through a sequential pathway via alexithymia and then depression. No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direct or indirect pathways, but for males only, attachment anxie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via alexithymia.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gender-sensitiv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argeting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기 괴롭힘 피해경험과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경험회피와 사회적 고립감의 순차매개효과
- 경계선지능 초등학생 의심대상자 실태조사: 충청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데이트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과 우울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항상 부적응적인가?: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적응 집단의 탐색
- 20대 청년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차별 대처전략에 따른 사회정의 관심, 사회정의 실천, 삶의 만족도 차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유아의 놀이 속 도덕적 체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