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Mental Health Differences Based o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College Students: A Latent Profile Analysis
발행기관
한국발달지원학회
저자명
임유경 박수현 어유경
간행물 정보
『발달지원연구』제14권 제1호, 57~7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중 적응적, 부적응적 전략이 몇 개의 잠재프로 파일로 분류되는지를 확인하고, 각 잠재프로파일 별로 전반적인 정신건강과 적응양상이 구분되는지 살펴보았다. 총 284명의 자료에 대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3개의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었고, 각각 ‘취약적응집단’, ‘보통적응집단’, ‘건강적응집단’으로 명명되었다. 전체의 9.3%가 해당된 ‘취약적응집단’은 부적응적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파일이었으며, 전체의 75.4%인 ‘건강적응집단’은 적응적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했다. ‘보통적응집단’은 부적응적 전략을 가장 적게 사용하였으나 적응적 전략은 ‘취약적응집단’과 유사한 수준으로 사용하는 프로파일로 전체의 15.3%가 속하였다. 또한 ‘취약적응집단’은 우울, 불안, 부정 정서, 진로 스트레스 등을 임상적 수준에서 경험하고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보통적응집단은 부정적인 지표들이 높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긍정적인 지표들 또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건강적 응집단은 자아존중감, 긍정정서 등 긍정적인 지표들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mong university students by categorizing them into adaptive and maladaptive strategies and identifying latent profiles. Data from 284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resulting in three distinct profiles: "vulnerable adaptation," "moderate adaptation," and "healthy adaptation." The vulnerable profile (9.3%) showed the highest use of maladaptive strategies; the moderate profile (15.3%) used fewer maladaptive strategies but similar levels of adaptive strategies as the vulnerable group. The healthy profile (75.4%) demonstrated the highest use of adaptive strategies. Comparisons across profiles revealed that the vulnerable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depression, anxiety, negative affect, and career stress. The health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elf-esteem, positive affect, and other indicators of positive adjustment. The findings highlight how distinc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patterns relate to mental health and adjustment in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유경,박수현,어유경. (2025).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발달지원연구, 14 (1), 57-77

MLA

임유경,박수현,어유경.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발달지원연구, 14.1(2025): 57-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