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 for the Father
발행기관
한국아동부모학회
저자명
강영욱(Youngwook Kang)
간행물 정보
『아동부모학회지』제11권 1호, 5~2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영유아교사의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 효의식, 자아존 중감의 관계와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서울 G구에 소재한 H대학에 연구자의 강의를 수강하는 1, 3, 4학년 124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측정도구는 아버지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 자아 존중감 검사이고 SPSS 22.0으로 신뢰도, 기초통계분석, 상관관계, 그리고 다중회귀분 석을 실시하였다. Hayes의 PROCESS macro 4.2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영유아교사의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 자아존중감, 그리고 효의식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영유아교사가 인식한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와 효의식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매개 효과는 간접효과로 부트스트랩 검증 결과 유의미한 효과였다. 연구결론: 예비영유아교사의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부모 역할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부모에 대한 효의식에 영향을 미친다. 이 과정에서 자아 존중감의 매개효과는 예비영유아교사를 양성하는 대학교육에서 아버지에 대한 긍정 적인 양육태도 인식과 바람직한 양육태도 형성을 통해 부모에 대한 효의식 증진과 더불어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교육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 for the father, sense of filial piety, and self-este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 for the father and sense of filial piety.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4 freshmen, junior, and senior students attending the researcher's lectures at H University located in G-gu, Seoul. The measurement tools were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 for the father, sense of filial piety, and self-esteem test, and the reliability, basic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2.0.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using Hayes' PROCESS Macro 4.2.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 for the father, self-esteem, and sense of filial piety. Second,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 for the father and sense of filial piety. This mediating effect was an indirect effect and was significant as a result of bootstrap verification. Conclusi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 for the father affected self-esteem, and it affects the sense of filial piety toward parents along with the understanding of parental roles. In this proces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suggests that in university education that train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al support to enhance self-esteem as well as to promote the sense of filial piety toward parents through the perception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 for the father and the formation of desirable parenting attitud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영욱(Youngwook Kang). (2025).예비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아동부모학회지, 11 (1), 5-27

MLA

강영욱(Youngwook Kang). "예비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아동부모학회지, 11.1(2025): 5-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