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 갈등 해소를 위한 그리스도의 구성 요소 재해석 - 현대신학의 그리스도론을 중심으로 -
이용수 10
- 영문명
- Reinterpretation of the Components of Christ for Resolving Social Conflicts : Focusing on Contemporary Theology's Christology
- 발행기관
- 통섭인문학회
- 저자명
- 정현우
- 간행물 정보
- 『통섭인문학』제3권 제1호, 33~5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의 갈등 상황을 해결할 방안으로 교회 내부에서 변화할 수 있는 그리스도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해석을 제시하기 위하여 현대 신학자들의 그리스도론을 분석하고 비교한 후 현시대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 요소를 발견하고자 한다.
최근 한국 내에서는 여러 집단 사이에서 갈등을 빚는 일이 자주 나타나고 있다. 특히 여론에서 이야기 된 한국기독교총연맹의 태극기 집회나 세계적으로 하나의 운동처럼 되어버린 정치적 올바름이 국내에서 나타남과 동시에 사회 갈등이 만연해졌기에 이를 근거로 한국 사회의 갈등 원인을 자신들의 가치를 중요시하고 다른 사람들의 가치를 무시하는 가치 경도 현상으로 주장하며 이를 해결하고자 기독교의 근본인 그리스도의 요소를 제시하려 한다.
이를 위해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폴 틸리히, 디트리히 본회퍼, 위르겐 몰트만, 존 캅과 같은 선대 신학자들의 그리스도 관점을 이해하고 그들의 장점을 융섭하고 가치를 평분하는 그리스도를 구성하여 사회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나름의 미약한 시도를 도전해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propose new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of Christ that can bring about changes within the church to address conflict situations in Korea.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Christologies of contemporary theologians, the paper seeks to discover new components that can be applied in the current era.
Recently, conflicts between various groups have frequently emerged in Korea. Notably, events such as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s Taegeukgi rallies and the rise of political correctness as a global movement have contributed to the widespread social conflicts within the country. Based on these observations, this study argues that the root cause of social conflicts in Korean society lies in the phenomenon of value extremism, where groups prioritize their own values while disregarding those of others. To address this, the paper suggests revisiting the fundamental elements of Christ in Christianity.
To this end, the paper examines the perspectives on Christ of prominent theologians such as Friedrich Schleiermacher, Paul Tillich, Dietrich Bonhoeffer, Jürgen Moltmann, and John Cobb. By synthesizing and integrating the strengths of these theologians, the study attempts a modest challenge to construct a Christology that emphasizes balanced values and seeks to resolve social conflicts.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현대 신학의 그리스도론
Ⅲ. 각 그리스도론 신학 모델의 장단점
Ⅳ. 현대사회에 필요한 그리스도론의 요소
Ⅴ. 마치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계화 시대의 틈의 그리스도론 - 힉과 지젝의 그리스도 이해를 중심으로 -
- 「하얀 어둠(白い闇)」에서 드러난 마쓰모토 세이초 추리소설의 심리적 트릭 분석
- 사회 갈등 해소를 위한 그리스도의 구성 요소 재해석 - 현대신학의 그리스도론을 중심으로 -
- 『삶이 내게 말을 걸어올 때』: 나는 어떻게 진짜 얼굴로 살아갈 것인가?
- K뷰티의 글로벌 전략과 베트남 시장의 가능성
- 『알면 다르게 보이는 일본 문화』: 소통과 이해의 통로로서 문화 인식
- 콘텐츠를 활용한 새로운 창업 전략에 대한 제고
- 『개역개정』역 삼상1장 15절의 오역 가능성 제기
- 도파민, 쾌락 과잉 시대의 절제와 융합적 사고
- 인구 감소 시대의 새로운 대안 ‘관계인구’
- AI 시대와 기술번역학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세계화 시대의 틈의 그리스도론 - 힉과 지젝의 그리스도 이해를 중심으로 -
- 「하얀 어둠(白い闇)」에서 드러난 마쓰모토 세이초 추리소설의 심리적 트릭 분석
- 사회 갈등 해소를 위한 그리스도의 구성 요소 재해석 - 현대신학의 그리스도론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