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제자원활동 현장에서 생성된 연구자의 문제의식에 대한 성찰적 탐색

이용수  0

영문명
Reflective Inquiry on Researcher’s Critical Mind Raised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Volunteerism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고권혁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2권 제2호, 129~15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해외 현장조사 도중 알게 된 한 청년센터의 활동중단 소식에서 시작되었고, 진행하던 조사는 이 청년센터와 소속 현지 활동가들에 대한 연구를 위한 예비조사로 목적을 바꾸게 되었다. 이 청년센터는 국제자원활동을 일종의 사회운동으로써 이해한 이 분야의 선구자들이 그들의 주장에 대한 실천으로써 설립에 참여하였기에 의미가 있고, 사회운동이 갖는 의식화의 측면은 교육적 논의로도 확장이 가능하다. 청년센터의 활동중단 소식을 소속 현지 활동가들을 만나는 자리에서 듣고, 아무도 없는 청년센터에 방문하며, 연구자는 세 가지 쟁점을 통해 문제의식을 분명히 하게 되었다. 첫 번째로 국제자원활동 안에서 지식이 생성된다는 것, 두 번째로, 주체성을 발견하는 장이 되었다고 봐왔으나 그 과정이 새로운 이념의 재생산의 가능성을 갖고 있다는 것, 세 번째로 현지 활동가들이 논의에서 소외되어왔다는 것이다. 예비적 현장연구로서 본 연구는 이 문제의식이 형성되는 과정을 제시한다. 여기서 예비적 현장연구는 참여적 현장연구(조용환, 2015)에서 예비조사를 통해 쟁점과 관점을 명료하게 하고, 본 조사의 방향을 제시해 볼 필요성이 있다는 주장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독립된 연구로 그 과정을 심화해 볼 것을 도전적으로 제시한다. 이 도전적 제시는 새로운 방법을 의미하지는 않고, 다만 연구자가 어떻게 문제의식을 갖는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성찰하는데 그 의미를 두고자 했다. 구조는 현장-쟁점-관점의 순으로 연구자의 문제의식에 대한 성찰의 과정을 정리한다. 이는 초보 연구자이자 장기간의 현장연구를 준비하는 입장에서 본 연구를 위한 든든한 머릿돌이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discussion starts from one closed youth center. This youth center was established as a practical challenge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by pioneers who consider international volunteerism as a social movement. In the perspective of people who think that social movement can encourage conscientization of individuals, international volunteerism can be discussed in an educational way. This news made me to reflect and approach three issues. They are the educational role of international volunteerism, its cultural reproduction, and neglect of local volunteers in my previous discussions and other literatures. As a preliminary field of study, which is not a proper qualitative method yet, I reflect on the process of producing issues in a structure of place-issue-perspective. This is challenge to me as a novice researcher. This preliminary field study is not suggested as a new research method. However, I believe this preliminary field study can clearly explain how researcher’s issues are constructed. Consequently, this preliminary field study may support an immature researcher who is preparing for a long-term field work.

영문 초록

목차

1. 국제자원활동에 대한 문제의식
2. 참여적 현장연구를 위한 예비적 현장연구
3. 문제제기에 대한 성찰: 나의 지향성을 들춰보기
4. 논의: 후속연구의 준비를 위한 성찰의 지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권혁. (2019).국제자원활동 현장에서 생성된 연구자의 문제의식에 대한 성찰적 탐색. 교육인류학연구, 22 (2), 129-153

MLA

고권혁. "국제자원활동 현장에서 생성된 연구자의 문제의식에 대한 성찰적 탐색." 교육인류학연구, 22.2(2019): 129-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