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학생들의 고등학교 입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on the Experience of High School Entrance Examination by Students of Science-Gifted Education Institute Affiliated with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이종혁 홍훈기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2권 제2호, 93~128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학생들의 고등학교 입시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살펴봄으로써 그들이 어떤 모습으로 고등학교 입시를 경험했으며, 그들의 고등학교 입시 경험이 어떤 심층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서로 다른 유형의 고등학교에 진학한 연구참여자 세 명의 내러티브를 구성했다. 그리고 세 명의 내러티브로부터 연구참여자별로 고유한 입시 경험의 의미를 정리하였다. 첫 번째 연구참여자의 경험은 학벌 획득과 국가 교육과정으로부터의 해방을 위한 ‘대학 입시의 예행연습’의 의미를 드러냈다. 두 번째 연구참여자의 경험은 고등학교 입시 과정에서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정체성 재고의 계기’로 의미화되었다. 세 번째 연구참여자의 경험은 경제적 측면, 사회적 지위 측면, 적성 탐색 측면에서 ‘효율적인 성취의 기회’의 의미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연구참여자와 공동 구성한 연구 텍스트를 부르디외(Bourdieu)가 제안한 ‘문화/상징자본’, 오트너(Ortner)가 제안한 ‘심리적 자본’ 개념과 연결해봄으로써 교육 상황에서 ‘칭찬과 배려’, ‘학습 선택권’에 대한 재고를 논의에 부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science-gifted students enrolled in the science-gifted education institute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experienced their high school entrance examination and what meaning their entrance examination holds by using narrative inquiry. To do this, we composed the narratives of three research participants who entered different types of high schools. From the three narratives, the unique meanings of their entrance examination experience were summari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xperience of the first participant shows the meaning of 'rehearsal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o acquire academic clique and be free from the national curriculum. The experience of the second participant presents 'the opportunity of reconsideration of self-identity' through interactions with others during the preparation process of high school entrance examination. The experience of the third participant shows ‘the opportunity for efficient achievement’ from the viewpoints of economic, social status, and self-aptitude probing. Finally, we discuss 'praise and consideration' and 'learning options' in the educational circumstances by connecting research texts to 'cultural/symbolic capital' proposed by Bourdieu and 'psychological capital' suggested by Ortner.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연구 절차
3. 고등학교 입시 경험 이야기하기
4. 고등학교 입시 경험 다시 이야기하기
5.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