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인류학과의 조우(遭遇)를 통해 본 북한연구의 성찰과 과제
이용수 4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flections and Tasks of North Korean Studies through the Meeting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오덕열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2권 제2호,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남북 분단의 역사와 함께 북한연구는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전문성이 결여된 낮은 수준의 연구, 빈약한 방법론, 다학문적 접근의 필요성 등의 비판을 받아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여러 인접 학문을 토대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 북한연구는 교육인류학을 통해 그동안의 성찰과 새로운 과제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갈 수 있다. 교육인류학은 기존 문화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더 나은 삶을 추구하려는 성찰적 대화에 교육적 의미를 부여하며 교육과 문화의 관계를 연구한다. 이를 기반으로 북한연구를 검토할 때, 지향해야 할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성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온 북한연구는 간주관적 관점으로의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문화연구로서의 북한연구를 수행할 시, 연구자는 괄호치기(bracketing)를 하여 북한문화를 살펴보고 해석해야 한다. 셋째, 북한연구에서도 자기 성찰적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북한이탈주민이 참여하는 연구에서 교육기술지 활용이 요청된다.
North Korean studies have continued with the history of inter-Korean division. But it has been criticized for its low level of expertise, poor methodology, and the need for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However, we are looking for a new direction based on several adjacent sciences. With this background, we are looking at new possibilities for reflections and new tasks through Anthropology of Education for North Korean studies. Anthropology of Education gives educational meaning to reflexive dialogue which critically examines existing culture and pursues better life. And it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culture. When examining North Korean studies based on this, future tasks are as follows: First, the North Korean studies, which have been mainly discussed with objectivity, needs a subjective perspective. Second, when carrying out North Korean studies as cultural studies, researchers must interpret North Korean culture through bracketing. Third, self-reflection studies are needed in North Korea studies. Fourth, educography is necessary for research involving North Korean defectors.
영문 초록
목차
1. 시작하며
2. 북한연구의 동향과 과제
3. 교육인류학과 북한연구의 조우(遭遇)
4. 북한연구의 교육인류학적 접근
5. 마치며: 북한연구의 교육인류학적 성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