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되어감의 이해를 위한 비교체험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ative Lived-Experience Research for Understanding 'Becoming Par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전가일 전현욱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0권 제3호, 149~188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여자와, 남자인 두 연구자가 스스로 연구 참여자가 되어 서로의 부모-되어감과 관련된 경험을 나누고 비교함으로써 각각 모와 부로서 상대방의 관점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부모-되어감의 의미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부모-되어감이라는 현상이 우리 생활세계의 하나이며 두 연구자 서로의 체험을 비교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하려 한다는 맥락에서 우리는 이 연구의 방법론을 '현상학적 비교체험 연구'라 명명했다. 연구를 위해 각각 엄마로서, 아빠로서 기록해 왔던 모든 기록물들(육아일기와 편지 글 등), 두 연구자의 대화 내용, 체험에 대한 일화 쓰기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들을 연구자 각자 코딩하여 주제화 한 후 그것을 서로 비교·검토하면서 더 나은 이야기 주제와 글의 구조를 위해 조정하며 코딩 결과를 종합해나가는 방식으로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되어감의 체험들은 '연결됨', '나를 나 되게 하는', '부모-되어감의 순환', '사회 구조의 내면화', '차이와 차연들'의 다섯 가지로 주제화 되었다. 또한 그 속에는 '부모'로 다 환원할 수 없이 오직 엄마만이, 그리고 아빠만이 낼 수 있는 독특한 목소리가 들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부모-되어감의 체험들을 '시숙'과 '다양한 층위의 주체-타자 경험'으로 의미화 하였다. 이 연구는 우리 삶에 중요한 부분인 부모-되어감의 경험과 그 의미에 대해 여성과 남성, 엄마와 아빠가 서로의 관점을 살피고 부모가 되어간다는 것의 의미를 보다 풍부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the meaning of becoming parents. For this study, a male and female resear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research participants. We, as researchers, attempted to understand our perspectives, as the opposite sex, by sharing and comparing our experiences of becoming parents. Since becoming parents is a phenomenon, which is a part of our life-world and the purpose is to be achieved by comparing our lived experiences, we call this methodology ‘a phenomenological comparative lived-experience research.’ We collected documentations (parenting diaries, interviews, anecdotes). Data, coded and categorized, were compared, and refined for the better themes and text structure, and analyzed and interpreted in a way to synthesize the coded results. The lived-experience of becoming parents is thematized in five themes, ‘connected,’ ‘becoming more me,’ ‘circulation of becoming parents,’ ‘internalizing social structure,’ and ‘difference and différance.’ It was found that in these themes there are unique voices that only mother and only father, not parents, can make. Also, the meaning of becoming parents was signified as ‘temporalizing’ and ‘multi-layers of subject-other experience.’ This study helps richly understand the meaning that female and male, mother and father enter into each other’s perspectives and become parents.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연구 방법
3. 부모-되어감의 체험
4. 부모-되어감의 의미
5. 해석학적 순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