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세 예술교육가의 목소리: 교육연극 전공 예술교육가들의 학교 안 예술교육에 대한 경험, 관점, 비전

이용수  0

영문명
Voices of Three Art Educators: Experience, Views and Vision of Art Educators Majored in Educational Drama to the Art Education in School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김윤경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0권 제3호, 259~28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들어 학교 안 예술교육은 학습자의 인지적, 정서적, 관계적 측면의 개선을 위해 활발히 실시되고 있다. 특히 '연극'은 통합적 역량의 강화를 위해 학교 안 예술교육의 한 분야로 각광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교육연극을 전공한 세 예술교육가들의 학교 안 예술교육 경험, 관점, 비전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학교 안 예술교육의 문제점과 지향점에 대한 그들의 목소리를 담아내었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참여자의 예술교육에 대한 경험, 관점, 비전에 따라 리베르떼(Liberte, 자유), 에갈리떼(Egalite, 평등), 쥐스티스(Justice, 정의)라는 별명을 부여하였다. 연구방법은 예술 기반 조사 & 시적 연구(ARPI: Arts-based Research & Poetic Inquiry) 패러다임에 기반한 문화기술드라마(ethnodrama)를 선택하였다. 세 예술교육가와 각각 심층인터뷰를 진행한 후 질적자료분석도구(CAQDAS)인 '파랑새 2.0'을 활용하여 드라마적 코딩으로 분석하고, 이를 다시 시적 드라마적 글쓰기로 표현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학교 안 예술교육의 실질적인 주체라고 할 수 있는 '예술교육가'의 경험, 관점, 비전을 통해 학교 안 예술교육의 갖추어야 할 '본질'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줄 것이다. 또한 예술 기반 연구 방법으로서 문화기술드라마와 시적 드라마적 글쓰기를 적용함으로서 교육현장연구에 새로운 토대를 다지게 될 것이다. In recent years, the Art Education In School (AEI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o improve student's cognitive, emotional, and relational aspects. In particular, drama is widely regarded as one of the areas that AEIS tries to enhance through its integration. In this study, I listened to three art educators' experience, views, and vision about the AEIS and captured their voices on the problems and goals to the AEIS. In this paper, I gave the French nicknames of the participants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 views and vision - 'Liberte' (liberty), 'Egalite' (equality), and 'Justice' (justice). The method of this study is ethnodrama, based on the paradigm of the ARPI (Arts-Based Research & Poetic Inquiry). After an interview with three art educators, using the 'Blue Bird 2.0' - Data Analysis Tool (CAQDAS), which was analyzed as a dramaturgical coding, and expressed it as a poetic drama.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present the essence of the AEI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art education through experience, views, vision of art education, which is a practical entity of the AEIS. Also, the ARPI as research method, will develop new ways of learning about the field of education by applying ethnodrama and poetic dramatic writing.

영문 초록

목차

제 1막. 아르떼 원정대의 출정
제 2막. 호모 드라마쿠스
제 3막. 다시 시작되는 항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경. (2017).세 예술교육가의 목소리: 교육연극 전공 예술교육가들의 학교 안 예술교육에 대한 경험, 관점, 비전. 교육인류학연구, (), 259-288

MLA

김윤경. "세 예술교육가의 목소리: 교육연극 전공 예술교육가들의 학교 안 예술교육에 대한 경험, 관점, 비전." 교육인류학연구, (2017): 259-2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