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안학교의 교육이념과 실제의 간극 탐구
이용수 2
- 영문명
- Inquiry into Alternative Schools' Education Philosophy: Theory and Practice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이은주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0권 제3호, 189~225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안학교의 교육이념을 이해하고, 교육이념이 교육현장에서 잘 실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연구자는 대안학교의 교장과 교감 총 5명을 동질집단으로 사례를 선정하여 면담을 통한 경험적인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그들이 말하는 교육이념은 자연, 지역 사회 등과 함께 하는 교육, 고정된 틀에 넣는 교육이 아닌 맞춰가는 교육, 생명을 이해하고 사랑하는 교육, 회복하고 자립하여 자기변화와 성장을 하는 교육이다. 교육이념이 교육현실에 부합하지 못하는 이유는 '인성교육'과 '경쟁력'의 합일이 어렵고, 기존의 대안적 가르침이 현실적이고 변화무쌍한 학생에게 배움으로 이어지지 못하며, 사랑이 필요한 특별한 학생들에 대한 대안학교 교사들의 이해가 부족하고, 교육이념이 광범위하고 추상적이어서 구체적인 현실에 빠르게 구현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안학교는 각기 다양하고 의미 있는 교육이념을 가지고 있으며 그러한 교육이념에 따라 실천을 하려고 노력하지만 교육이념과 교육현장 사이에는 간극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론과 실제의 간극을 좁히는 데 교장, 교감의 교량적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lternative schools’ education philosophy and analyze whether the education philosophy is being practiced in actual school life.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alitative research by interviewing principals or vice principals in five alternative schools. The study found that their stated education philosophy falls into one of four categories: emphasis on nature or surrounding community, customized learning, emphasis on love and life, and emphasis on healing and self-development. The study concludes that there are four major reasons for the chasm between the stated education philosophy and actual school life: difficulty of achieving both ‘character building’ and ‘academic competitiveness,’ the curriculum not being equipped to teach today’s fast changing students, teachers’ lack of deep compassion for special students, and the education philosophy being too broad and abstract. Alternative schools each have their unique and meaningful education philosophy. The schools also work hard towards putting these philosophies into practice. The study found that, despite such hard work, there exists a chasm between the schools’ education philosophy and actual school life, The importance of schools’ principals and vice principals as bridges between schools’ philosophy and practice cannot be overstated.
영문 초록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대안학교의 교육이념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