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과학영재 고등학생의 과학분야 문제발견과정 분석: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Gifted High School Students’ Problem-Finding Process in Science: Based on Grounded Theory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조대기 한기순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18권 제3호, 97~12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과학영재 고등학생의 과학분야 문제발견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문제발견과정 유형을 제안하기 위해 과학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대략 2년 3개월의 기간에 걸쳐 이들을 인터뷰하고 이들의 문제발견 과정을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문제발견과정에서 문제발견과정에 대해 65개의 개념과 33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핵심범주로는 ‘혼란하고 불완전하게 착상된 생각의 발전 및 퇴행’을 찾아냈으며, 과학영재 고등학교 학생들이 문제발견과정에 대한 과정분석 결과는 준비단계, 착상단계, 발전 및 퇴행단계, 최종문제 제작단계로 정리되었다. 또한 과학영재 고등학생의 과학분야 문제발견과정의 유형은 소극적 문제발견유형, 가치로운 문제발견유형, 평범한 문제발견유형, 혼란한 문제발견유형 등 4가지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 얻은 범주와 패러다임 모형, 4개의 문제발견유형은 과학영재 고등학생의 과학적 문제발견과정에 대한 이해와 과학영재 학생들의 연구 활동에 중요한 부분인 문제발견 교육 맥락에서 논의되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how and what gifted students in science high schools experience during the problem-finding process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by Strauss and Corbin (1998). Twenty students, who are currently progressing or have ended their research within the past year at a science high school in a metropolitan area,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They were interviewed and observed during a two-year and three-month period.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ere collected and categorized with open and axial coding, which lead to 65 concepts, 33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The different stages of the process of problem finding were: ‘a preparatory stage,’ ‘a stage of development or regression,’ and ‘ a stage of problem,’ while the main category of the problem-finding process was shown as confused and incompletely conceived thoughts. Accordingly, 4 types of problem-finding were categorized as ‘passive problem finding type,’ ‘valuable problem-finding type,’ ‘ordinary problem-finding type,’ and ‘confused problem-finding type.’ Data, paradigm models, and four types of problem finding are discussed considering how science-gifted students find scientific problems and how they are taught important scientific problem finding when they study.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대기,한기순. (2015).과학영재 고등학생의 과학분야 문제발견과정 분석: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8 (3), 97-129

MLA

조대기,한기순. "과학영재 고등학생의 과학분야 문제발견과정 분석: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8.3(2015): 97-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