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내담자의 회기 불참에 대한 상담자 체험의 의미

이용수  0

영문명
The Meaning of a Counselor's Lived Experiencesabout Client's No-Show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배주연 김봉환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18권 제3호, 131~16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내담자의 회기 불참에 대한 상담자 체험의 본질적 의미를 탐색하는 경험적 연구로 참여자 7명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체험연구의 하나인 Giorgi(1985)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내담자의 회기 불참에 대한 상담자 체험의 본질적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내담자의 회기 불참에 대한 상담자 체험을 ‘흩어지는 마음’, ‘날아간 시간에 대한 상념들’, ‘불안한 기다림’, ‘상담과 상담관계를 돌아봄’,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는 상담의 과정’ 등 5개 범주로 분류하였다. 각 참여자의 체험과 상황적 구조적 기술을 통합한 상담자 체험의 일반적 구조적 기술은 ‘내담자가 회기에 나타나지 않은 행동을 통해 상담자는 상담을 돌아보게 되고 내담자를 이해하게 되는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는 상담의 과정’ 이며, 이를 통한 내담자의 회기 불참에 대한 상담자 체험의 본질적 의미는 ‘또 다른 자신을 만나 상담을 이해하기’ 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내담자의 회기 불참에 대한 본질적 의미를 통해 상담자의 회기 불참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전문적인 상담자가 되기 위해 요구되는 교육과 훈련의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tial meaning of a counselor's lived experiences about clients' no-show an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counselor's theoretical education and practices. For this purpose, I think that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is appropriate, which is focused on participant's lifeworld. In this study seven counselors who have accep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selected.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interviews for about seven months from September, 2014 to April, 2015. Data analysis was done according to Giorgi's analysis procedures. As a result, 20 subjects and five categories are drawn from the meaning units. The five categories are ‘Scattered mind', ‘Thoughts about lost time', ‘Anxious waiting', ‘Looking back at the counseling and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That can happen at any time of counseling process'. The essential meaning of a counselor's lived experiences about client's no-show is that “Meeting with another self and Understanding the counse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urrent issue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나가며: “나를 만나는 시간”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주연,김봉환. (2015).내담자의 회기 불참에 대한 상담자 체험의 의미. 교육인류학연구, 18 (3), 131-160

MLA

배주연,김봉환. "내담자의 회기 불참에 대한 상담자 체험의 의미." 교육인류학연구, 18.3(2015): 131-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