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내담자의 눈물체험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Ms. Sisyphus의 남성감옥 탈출기

이용수  0

영문명
An Ontological Inquiry into a Client's Experience of Tearful Crying: The Exodus Records of Ms. Sisyphusfrom Man-Made Prison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오효정 박세원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18권 제3호, 37~96쪽, 전체 6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10,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 여성 내담자가 상담에서 자신의 눈물체험의 의미를 새롭게 자각해가면서 눈물흘림의 의미를 실존론적으로 구성해가는 변화과정을 탐구하였다. 내담자는 태생에서부터 자신의 신체를 지배한 남성 중심적 언어체계 안에 갇히고 식민화되었다. 그녀는 그 언어를 자신의 삶의 의미, 가치, 목적으로 믿고 살아내기 위해 한 평생 노력하는 삶을 살았는데, 그 노력이 실패로 귀결될 때마다 몸은 실패한 자신을 위로하기 위해 끊임없이 눈물을 토해냈다. 하지만 나와 이루어진 상담에서 자신의 삶을 실존적으로 탐구하면서 그녀는 그동안 지시적 기호언어들에 의해 억압된 몸이 토해내는 눈물의 의미들에 대해 순전하게 귀 기울이기 시작한다. 이러한 존재론적귀 기울임은 그녀로 하여금 신체가 발현시키는 언어(신체언어)에 기초해 그동안 자신을 지배했던 기호언어들을 실존의 언어(실존언어)로 재구성하게 도왔다. 이 과정에서 그녀는 실존적 삶을 향한 자각과 결단의 의미로 눈물을 새롭게 토해낸다. 연구의 마지막 단계에서 그녀는 신체언어와 기호언어를 스스로의 힘으로 조화시키면서 실존의 길을 열어낸다. 이 연구는 상담에서 내담자가 경험하는 눈물흘림과 삶의 관계적 의미를 실존적 삶의 구성이라는 관점에서 개념화함으로써 실존적 상담의 가치와 그것의 방법론적 지평을 넓힌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inquiry inquired into the tearful crying experiences of a female client who interpreted and constructed her tearful crying experiences existentially during the process of her counselling period. The consciousness, unconsciousness, and body of the client have been substantially colonized by the powerful system of male-dominated language almost for the whole her of life. While continuing to live up to the meanings, values, and purposes enforced by the prescriptive language, she relentlessly brought up tearful crying in order to console herself whenever her desperate tries resulted in failures. However, she started to listen to the voices that naturally continued to come out honestly inside somewhere in her body in the middle of her existential inquiry into her life during the counselling. This existential counselling experiences, however, helped her to reconceptualize the realities of the dominant symbolic languages that ruled over herself even before her birth based on her awareness of the voices as told by her body. The process naturally had her cry tears, which represented the desire or decision for another existential life for herself. At the final stage, she's finally come to open her own existential way of living in which she could harmonize what her physical language has continued to tell her and the symbolic language she has been situated in her whole life. This inquir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counsellors not only with the values but also the methodological breakthroughs of existential counselling by conceptualizing the relationships of a client's tearful crying and life in terms of existential meaningful life.

영문 초록

목차

1. 이야기를 시작하며
2. 언어와 인간 소외
3. 여성의 실존과 눈물 체험
4. 연구의 방법 및 과정
5. Ms. Sisyphus의 남성감옥 탈출기
6. 눈물체험의 존재론적 해석
7. 이야기를 마치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효정,박세원. (2015).내담자의 눈물체험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Ms. Sisyphus의 남성감옥 탈출기. 교육인류학연구, 18 (3), 37-96

MLA

오효정,박세원. "내담자의 눈물체험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Ms. Sisyphus의 남성감옥 탈출기." 교육인류학연구, 18.3(2015): 37-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