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관객 없는 지휘의 자유 :유아의 혼자놀이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6

영문명
The freedom of orchestration without audience: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children`s solitary play experience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전가일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13권 제2호, 115~14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5.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연구의 유일한 참여자인 슈의 혼자놀이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이다. 혼자놀이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이 혼자놀이를 발달의 미성숙과 연결시킨데 반해 이 연구는 참여자 슈의 혼자놀이를 통해 혼자놀이 현상의 속성과 혼자놀이 체험이 유아에게 가지는 의미를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슈의 혼자놀이 경험을 각각 시간, 공간, 관계, 몸의 네 가지 실존체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슈는 혼자놀이를 통해 재미와 차이를 생성하는 시간성, 놀이 속에서 새롭게 창조되는 공간,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운 신체, 창조적으로 모방되는 관계성을 경험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현상적 특징을 통해 참여자의 혼자놀이 경험의 의미를 살핌으로서 자유와 몰입이라는 혼자놀이의 근본적인 속성을 드러내었다. 이 연구를 통해 아이들의 놀이에 관한 또 다른 질문들을 생성하며, 우리 삶의 여러 현장에서 혼자 놀고 있는 “한 아이”를 이해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on solitary play experienced by Sue, the only participant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solitary play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solitary play to children in contrast to the view of solitary play as developmental immaturity by existing studies. For this reason, qualitative and phenomenological method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I analyzed solitary play experience into four existentials which are time, space, relationship, and bod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e followings: Sue has experienced that the time generates interest and difference; the space is recreated in the play; the body is free from other's eyes, and the relationship is creatively imitated. In addition, the study revealed fundamental attributes of solitary play; freedom and immersion. Through this study, more questions on children's play can emerge and we can understand "only child" who plays alone in many fields of life.

영문 초록

목차

1. 나는 왜 혼자놀이를 연구하였는가?
2. 이 연구가 선행연구들과 맺는 관계는 어떠한가?
3. 어떻게 연구 했는가?
4. 슈는 혼자 놀 때 무엇을 하는가?
5. 슈의 혼자놀이의 현상적 특징은 무엇인가?
6. 슈의 혼자놀이 체험적 의미는 어떠한가?
7. 나는 무엇을 배웠는가?
8. 결론 그리고 다시 이어지는 질문은 무엇인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가일. (2010).관객 없는 지휘의 자유 :유아의 혼자놀이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3 (2), 115-146

MLA

전가일. "관객 없는 지휘의 자유 :유아의 혼자놀이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3.2(2010): 115-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