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문화기술지: 방법론적 특징을 통해 본 교육인류학적 가치의 탐색
이용수 19
- 영문명
- Autoethnography: Exploration of its value as a research methodology in anthropology and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박순용 장희원 조민아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13권 제2호, 55~7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5.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문화기술지는 기존의 문화기술지, 내러티브 탐구, 생애사 연구와는 달리 자전적(autobiographical)으로 주관성이 가미된 연구자의 경험을 토대로 글을 구성하고, 사회, 문화, 정치적으로 연결지어 해석하며, 문화기술지적(ethnographical) 방법이 차용되는 특성을 포함하고 있는 질적 연구방법이다. 이 논문에서는 아직 우리나라에 생소한 자문화기술지를 소개하고 자문화기술지의 발달 과정과 역사, 방법론적 가치, 그리고 교육인류학과 교사교육, 상담교육과 같은 학문 영역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자문화기술지 고유의 방법론적 특성과 선행연구를 통해 발견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문화기술지의 종류를 소개하고 연구 방법 단계에 있어서 주제선정, 자료수집, 자료 분석 및 해석, 글쓰기의 특징적인 면면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교육인류학 및 교육학 영역에서 다양하게 적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contributions of autoethnography in the fields such as anthropology of education, teacher education, and counseling education. Autoethnography is a rigoro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differs in its characteristics and practice from other methods such as ethnographic research, narrative inquiry, and life-history research. Autoethnography utilizes ethnographic methods to bring cultural interpretations to the autobiographical data of the researcher with the intent of understanding the self and its connection to others, thereby enabling in-depth cultural understanding of self and other. This paper will present practical guidance for conducting autoethnographical research by providing examples of existing literature, as well as clarifying the value and pitfall of autoethnography. It will also be shown that autoethnography has much to offer to social scientists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those concerned with raising cross-cultural understanding in a culturally diverse society.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문화기술지와 자문화기술지
3. 자문화기술지 방법론
4. 자문화기술지의 활용: 교육인류학, 교사교육 및 상담교육
5. 글을 맺으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