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실 체험에 담긴 문해교육의 의미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meaning of literacy education from the lived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clas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권순정 신수영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13권 제2호, 83~11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5.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실 체험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의 의미를 재해석하여 문해교육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에 기초하여 9개월 동안의 현장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실의 일상을 관찰하고 결혼이주여성 그리고 교사들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실에서의 연구자들의 체험에 대한 성찰과 함께 프레이리의 문해교육에 주목하며 그의 문헌들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연구자들은 한국어 교실 체험을 통해 1) 결혼이주여성들의 ‘나’를 위한 학습과 이를 통한 정체성의 재구성; 2) 공동체 안에서 촉진되는 학습; 3) 교사들의 사랑과 관심에 기초한 연민과 의식화에 대한 이해, 그리고 이주여성들의 혼자서기; 4) 글을 통한 세계에 대한 이해와 해방을 향한 희망의 의미들을 깨달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한국어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문해교육의 참 의미를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meaning of literacy education by reinterpreting the lived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classe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doing so, researchers observed the daily live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eachers; conducted interviews based on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reflected upon our experiences in Korean language classes; and looked into the literature of Paulo Freire, interpreting the meanings of our research by focusing on literacy education. The research included 9-months of fieldwork. Through data analysis of the lived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classes, we were able to realize 1) that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for 'themselves' and that this relates to the meaning of reconstruction of identities; 2) the promotion of learning in a community; 3) compassion and the understanding of conscientization based on the love and care of teachers and female marriage immigrants' self-reliances; 4) understanding of the world through words and the hope of emancipation. From these explorations, we became to aware of not only a new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also the true meaning of literacy education.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연구 방법
3. 한국어 교실 체험과 의미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