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교실 문화 형성에 관한 질적 탐구

이용수  0

영문명
A Description on the Formation of an Elementary Classroom Culture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정광순 정수현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13권 제2호,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5.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실 문화 형성을 질적으로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서 K초등학교 오이반을 대상으로 오이반 학생들이 ‘우리 반’이라는 것을 어떻게 구체화해 가는가를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오이반 교실 문화 형성을 ‘Here And Now’로, 즉 첫째, 오이반 문화는 교실 공간에서(Here), 둘째, 오이반 학생들의 일상을 매개로(And), 셋째, 어떤 일이 일어나는 그 순간(Now)에 구성원들이 모종의 일을 다루는 방식을 공론화하면서 교실의 삶의 양식을 공식화하는 것임을 기술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기초로 첫째, 초등학교 교실 문화는 교실의 구성원들이 그들만의 삶의 양식을 만드는 과정임을 알게 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실문화는 교실 구성원들이 교실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공식적으로 다룰 수 있는 ‘한울타리 이야기’ 같은 구체적인 ‘매개’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교실 문화 형성 과정에서 교실 생활 혹은 삶의 ‘동시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lassroom culture itself in an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the `Hanultari Story`, the group diary that the students in Oiban class recorded happenings in the classroom every day, was selected as the main data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observing the culture of Oiban class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Flow of Classroom Culture' could be described by 'Here and Now'. The flow of classroom culture formed in the space of Oiban classroom(Here), with a daily life of students in Oiban class as the medium(And), through the time at the moment when something happens(Now). Secon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s, it was that classroom culture is the formating process itself, classroom culture is need the medium to form the culture like as 'Hanultari Story', and classroom culture is based on the spatiotemporal concept. The 'Hanultari Story' was the medium creating the style of living of Oiban class and the central point from which the unique style that could be worthy as Oiban's characteristics was created. The classroom culture has meaning as process and content. The 'Hanultari Story'played the organic roles in the transition in the procedural aspects to be 'Oiban Class'. Furthermore, the students found the directivity as the subjects in the classroom through the 'Hanultari Story'and formed the classroom culture by complying with the orders.

영문 초록

목차

1. 우리 반!
2. 연구 맥락 기술
3. 오이반 교실 문화 형성에 대한 기술
4. 초등학교 교실 문화 형성의 맥락 보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광순,정수현. (2010).초등학교 교실 문화 형성에 관한 질적 탐구. 교육인류학연구, 13 (2), 1-28

MLA

정광순,정수현. "초등학교 교실 문화 형성에 관한 질적 탐구." 교육인류학연구, 13.2(2010):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