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모효능감과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어머니 스마트폰 과의존과 어머니-유아 놀이상호작용의 다중매개효과

이용수  105

영문명
The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Mother'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Mother-Child Play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fficacy and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발행기관
한국부모교육학회
저자명
홍찬영 한성희
간행물 정보
『부모교육연구』제21권 제4호, 31~5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효능감과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어머니 스마트폰 과의존과 어머니-유아 놀이상호작용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09명을 대상으로 부모효능감,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 어머니 스마트폰 과의존, 어머니-유아 놀이상호작용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 4.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부모효능감은 어머니와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과 부적 상관이 있고, 어머니-유아 놀이 상호작용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어머니 스마트폰 과의존은 어머니-유아 놀이상호작용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유아 놀이상호작용은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효능감이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놀이상호작용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이 높고 어머니 스마트폰 과의존이 낮으며 자녀와의 놀이상호작용이 증가하면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부모효능감과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 놀이상호작용은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에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어머니 대상의 실제적 교육프로그램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verified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mother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mother-child play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fficacy and child smartphone overdependence.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involving 209 mothers with infants was conducted using parental efficacy, infant smartphone dependence, mother smartphone dependence, and mother-child play interaction sca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the SPSS PROCESS Macro 4.2 program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parental efficacy was correlated with mothers' and infa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mother-child play interaction. Second,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mother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play interaction in the effect of parental efficacy on child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conclusion, if the mother's parental efficacy is high, the mother's dependence on the mother's smartphone is low, and the play interaction with her children is high, the child's dependence on the mother's smartphone may be low.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parental efficacy, the mother's dependence on her smartphone, and play interaction are important factors for preventing dependence on smartphones in early childhoo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preparing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s for mother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찬영,한성희. (2024).부모효능감과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어머니 스마트폰 과의존과 어머니-유아 놀이상호작용의 다중매개효과. 부모교육연구, 21 (4), 31-56

MLA

홍찬영,한성희. "부모효능감과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어머니 스마트폰 과의존과 어머니-유아 놀이상호작용의 다중매개효과." 부모교육연구, 21.4(2024): 3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