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독교 부모 양육코칭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용수 66
- 영문명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Christian Parenting Coaching Capacity-Building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미양 도미향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21권 제4호, 5~3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기 자녀를 둔 기독교 부모의 양육 코칭 역량의 향상을 목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과 요구도 조사를 한 후 전문가 타당도 검토를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2명씩 배정하여, 실험 집단에게 회기당 120분씩 총 9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에 각각 사전· 사후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집단은 7개 하위요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실험집단은 자기 이해, 자녀 이해, 자기성장, 관계 형성, 성장 촉진 5개 하위요인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기독교 부모의 양육 코칭 역량을 강화하는데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둘째, 기존의 부모 양육 코칭 프로그램이 일반적인 양육에 중점을 두거나, 신앙교육에 편중하여 개발된 반면, 본 연구 프로그램은 신앙과 양육을 결합한 복합 프로그램으로서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기독교 부모들이 자녀에게 신앙 교육과 사회적 능력을 지닌 리더로서의 성장을 균형있게 다루게 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the parenting coaching capacity of Christian parents with children an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this end, a program was developed and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each provided with a pre-test and a pre-test group. A follow-up survey was conducted, and a nine-session program was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of the seven sub-factors in the control group, wherea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ve sub-factors of self-understanding, child understanding, self-growth, relationship formation, and growth promotion. Unlike existing parenting coaching programs that focus on general parenting or faith education, this program is a complex program that combines faith and nurturing, and it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is a new attempt.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기독교 부모 양육 코칭 프로그램
Ⅳ. 프로그램 실시 및 효과 검증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