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9
- 영문명
-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on Occupational Engagement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유경 원경림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21권 제4호, 95~11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충청권역에 소재 중인 대학의 재학생 263명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심리적 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PSS 27.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심리적 자본은 진로관여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대학생의 진로관여행동를 촉진함에 있어 심리적 자본이 중요한 선행요인임을 의미한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진로관여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대학생이 높은 사회적 지지를 경험할수록 진로관여행동를 활발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심리적 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관여행동의 주요한 선행변인임을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대학생의 진로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심리적 자본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지지를 지각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지원 방안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involvement behavior using response data from 263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the Chungcheong area. Descriptive statistic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ssessed using SPSS 27.0. The findings showed that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involvement behavior, meaning that psychological capital is an important prerequisite for promoting career involvement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involvement behavior, initiating that when college students experience greater social support, their career involvement behavior becomes more active.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are the main antecedent variables affecting career involvement behavior. Based on this, the necessity of various support measures was proposed to improve psychological capital and help college students perceive social support more clearly to support their career development.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