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 Buber 철학으로 바라본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의미 : '대화'와 '만남'을 중심으로
이용수 5
- 영문명
- Meaning of Circle-Time through M. Buber's Philosophy : Focusing on 'dialogue' and 'encounter'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한선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2호, 189~21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M. Buber 철학의 관점에서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담긴 대화와 만남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9월 첫째 주부터 2017년 11월 셋째 주까지 10주에 걸쳐 전개된 교사 2인의 이야기나누기 수업을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너를 들으려 하지 않는 대화’에서는 ‘나는 묻고, 너는 답하고’, ‘나는 나, 너는 너’, ‘권력을 가진 교사, 규칙에 갇힌 유아들’과 같이 나와 너의 만남이 없는 시간이 나타났다. 반면 ‘너를 진정으로 들으려 하는 대화’에서는 ‘초대하기/초대에 응하기’, ‘함께 결정하기’, ‘유아의 사고 과정 인정하기’ 등과 같이 유아와 교사 간 ‘나’와 ‘너’의 만남이 나타난다는 점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이야기나누기 수업이 유아와 교사가 서로의 실존적 존재를 마주하며 대화적 관계를 통해 진정한 인격 간 만남이 전개되는 장이 될 수 있어야 함과, 나아가 유아교육 현장의 두 주체자인 유아와 교사 모두가 의미 있게 존재하는 참다운 관계 중심 교육으로 거듭나야 함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M. Buber’s philosophy to find out the meaning of ‘encounter’ along with the patterns of ‘dialogues’ in circle-time. To this end, the circle-time of two teachers was qualitatively analyzed, which took place over 10 weeks from the first week of September 2017 to the third week of November 2017. Studies show that dialogues that do not listen to you have no time for me to encounter you, such as ‘I ask, you answer’, ‘I’m you’, and ‘I’, and ‘power teacher, ; young children locked in rules.’ On the other hand, dialogues that really want to listen you have led to an encounter of ’me’ and ‘you’ between a teacher and young children, such as ‘invitation, ; accept invitation’, ‘decisions together’ and ‘admit the young children’s thinking proce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ircle-time should be a place where young children and teachers have an existential existence with each other and that genuine educational encounters can be developed through a dialogue relationship. Furthermore, we should return back to a true relationship-oriented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 스마트폰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놀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인권교육 경험을 통한 유아 인권감수성의 특성
- M. Buber 철학으로 바라본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의미 : '대화'와 '만남'을 중심으로
- 그림책 내용분석 논문의 연구 동향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Vanhoozer의 신학적 문화해석에 기초한 자바카 스텝토의 〈빛나는 아이〉(2016) 해석
- 영아그림책의 시각적 표현 방식에 관한 비교문화적 탐구 : 한국과 프랑스 수세기 개념그림책
- 유아 동극 활동의 창의적 개발과정을 통한 예비유아교사 대학생의 창의성 인식 고찰
- 유아교사의 직업적 웰빙과 소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유아의 다문화감수성과 인지능력, 언어능력, 정서능력,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