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 동극 활동의 창의적 개발과정을 통한 예비유아교사 대학생의 창의성 인식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Recogni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Creativity while Developing a Drama Activity with Young Children Focusing on Creative Thinking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강현경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2호, 99~12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인 대학생이 창의성 발현에 초점을 두고 유아 동극 수업활동을 어떻게 개발하였는지, 또 이러한 과정 중에 나타난 창의성에 대한 인식 및 인식 변화양상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도에 소재한 G대학 아동학과 4학년 학생 6명이 연구에 참여하여 11주 동안 총 10회의 회의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회의-산업체 방문을 통한 자문 구하기-자료조사-동화제작, 수업 계획안 개발’의 과정을 통해 동극 수업을 개발하였고, 실제로 어린이집에서 ‘동화듣기, 소품 머리띠 만들기, 동물 신체표현활동’, 그리고 최종적으로 ‘동극활동’을 수행하였다. 둘째, 학생의 창의성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보았을 때, 이는 ‘창의성 개념 정립하기’, ‘타인의 생각 존중하기’, ‘자신감으로의 변화 추구하기’, 그리고 ‘협력에의 필요성 인식하기’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자들로 하여금 대학생에게 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university students developed a drama activity focusing on creative thinking, as well as to examine their recognition of or changing aspects on creativity while making a new activity and doing it with young children. To this end, six G university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ree hours per week for 10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developed a new drama activity through ‘discussing – asking advice at the day care center- studying - making a fairy tale- plan for real teaching,’ and they experienced as a teacher ‘reading a fairy tale, letting young children make a hair band and express body movements for the drama activity, and finally doing the drama activity. Second, when the students’ recognition of creativity is realized, it is analyzed as ‘definition of creativity,’ ‘importance of thinking respect,’ ‘change of confidence’ and ‘need of collaboration.’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professors to learn how important an environment is that enables students to realize creativity and to conduct a similar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 스마트폰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놀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인권교육 경험을 통한 유아 인권감수성의 특성
- M. Buber 철학으로 바라본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의미 : '대화'와 '만남'을 중심으로
- 그림책 내용분석 논문의 연구 동향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Vanhoozer의 신학적 문화해석에 기초한 자바카 스텝토의 〈빛나는 아이〉(2016) 해석
- 영아그림책의 시각적 표현 방식에 관한 비교문화적 탐구 : 한국과 프랑스 수세기 개념그림책
- 유아 동극 활동의 창의적 개발과정을 통한 예비유아교사 대학생의 창의성 인식 고찰
- 유아교사의 직업적 웰빙과 소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유아의 다문화감수성과 인지능력, 언어능력, 정서능력,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