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아그림책의 시각적 표현 방식에 관한 비교문화적 탐구 : 한국과 프랑스 수세기 개념그림책

이용수  0

영문명
The Cross Cultural Study of Counting Picturebook for Babie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심향분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2호, 21~4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는세계여러나라도서의적극적인번역출간으로영아시기부터다양한국가의그림책을접하게 된다. 본 연구는 시각적 매체로서 그림책은 국가의 문화적 특징이 반영된다는데 관심을 갖고 한국과 프랑스의 영아그림책의 시각적 표현 방식에 관한 차이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때 영아들을 대상으로제작되었다는기준을책의형태로보고보드북형태의수세기그림책을수집하였다. 이들그림책들은 수개념을 전달한다는 공통된 목표를 지니고 있었지만 동서양이라는 문화적 차이를 드러내었다. 한국의 영아그림책은 수개념을 전하는데 개념독립적이기보다는 대상들이 서로 연관되어 가족 공동체적 관계를 중심으로 따뜻한 분위기의 맥락적 그림으로 대상들을 보여주고 있었다. 반면 프랑스 그림책은 특별한 배경없이 원색을 사용하여 단순한 선과 형태를 사용한 그림으로서 수개념과 대상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표현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른 시기부터 그림책을 보는 영아들은 관계성이 중시되는 동양적 인식과 대상의 독립성을 중시하는 서양적 인식을 동시에 접하는 시각 문화적 환경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아들은 그림책을 통해 개념을 습득하는 동시에 대상 이미지를 발견하며 이들 대상간 관계를 인식하게 되기 때문에 영아그림책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혼자 그림책을 읽지 못하는 영아들은 양육자 성인들과의 상호작용적인 읽기를 통해 그림책을 경험하는 만큼, 시각이미지에 담겨있는 시각문화적인 차이를 인식하여 이를 영아를 위한 그림책 읽기과정교육에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icturebooks for babies have differentiating features compared to children’s picturebooks. Picturebooks have special meaning for babies. Picturebooks give babies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world around them; naming, numbers, alphabet, concept, family, daily life habit and so on. In particular, babies have experiences through the images in picturebooks. It is the first time for babies to experience the world around them. Many picturebooks from other countries have been translated and published in Korea. There are growing concerns about picturebooks for babies: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features of Korean picturebooks and French picturebooks for babies. Korean picturebooks describe and show subjects in context with a warm atmosphere centering on family community relationships. French picturebooks, on the other hand, used simple shapes without any particular background, taking an expression that clearly conveys ideas and objects. These results show that infants are placed in a visual and cultural environment where they encounter Oriental and Western perceptions at the same time through picturebook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내용 및 방법
Ⅲ. 무엇을 셀까? 어떻게 보여줄까? 영아 수세기 그림책에서의 시각문화적 차이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향분. (2019).영아그림책의 시각적 표현 방식에 관한 비교문화적 탐구 : 한국과 프랑스 수세기 개념그림책.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 (2), 21-40

MLA

심향분. "영아그림책의 시각적 표현 방식에 관한 비교문화적 탐구 : 한국과 프랑스 수세기 개념그림책."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2(2019): 2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