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Vanhoozer의 신학적 문화해석에 기초한 자바카 스텝토의 〈빛나는 아이〉(2016) 해석

이용수  0

영문명
Interpretation of Javaka Steptoe's 〈Radiant Child〉(2016) based on Vanhoozer's Theological Cultural Hermeneutic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현은자 김주아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2호, 41~7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Vanhoozer의 신학적 문화해석에 기초하여 2017년 칼데콧 메달작인 자바카 스텝토 글, 그림의 <빛나는 아이>(2016)를 텍스트 자체와 뒤, 그리고 앞의 세계, 삼차원에서 다층적으로 해석하고 그 결과 드러난 세계관을 기독신앙으로 조망해 보고자 하였다. ‘텍스트 자체’의 세계에서는 이 작품이 바스키아의 유년 시절과 어머니의 사랑, 예술적 열정과 탁월성, 그의 회화의 모티프와 상징을 부각시키고 있으며 앞ㆍ뒤표지, 면지, 표제지와 같은 페리텍스트를 통해 성공한 예술가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작가의 창작 의도와 창작이 이루어진 문화적 배경을 조사하는 ‘텍스트 뒤’의 세계 읽기를 통해 바스키아에 대한 세간의 부정적인 평가를 극복하고자 했던 창작 의도와 칼데콧 선정 기준을 살펴보았으며, ‘텍스트 앞’의 세계 읽기에서는 인터넷과 전문서평지에서의 반응이 주로 작품의 미학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텍스트에 대한 이러한 다차원적 읽기를 기초로 하여 <빛나는 아이> 텍스트와 현 시대의 예술 비평 분위기가 표현적 개인주의로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밝혀내었고 기독교적 관점에서 이 세계관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독신앙인들이 이 시대의 세계관을 이해하고 분별력을 갖추어 공적 영역에서 그림책 문화행위의 주체가 되도록 도울 수 있다는 데서 그 기여점을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draw upon Vanhoozer for the theological cultural hermeneutics(Vanhoozer et al., 2007/2009) to interpret (2016), the painting by Javaka Steptoe, the Caldecott medalist in 2017. Vanhoozer suggested interpreting the cultural text by offering theologically thick descriptions of everyday text and trends. According to his cultural interpretation methodology, itself was explored in three aspects: writing, picture, and peritext. The text focused on Basquiat’s childhood and the mother’s role and his artistic passion and success. The illustration showed motifs, letters streets, galleries, and his graffiti paintings. The peritext showed his image of success in the title, the front and back cover, and the title page. The world behind the text showed the artist’s intention, the cultural background of Basquiat’s success and the Caldecott Award criteria. Finally, reading the world ahead of the text revealed that the book reviews mostly paid attention to the artistic features of the text. As a result, the world view of this work was revealed as expressive individualism, which was discussed from a Christian point of view. This study contributes by helping Christians to effectively participate as cultural agents in our culture by letting them understand the worldview reflected in this age.

목차

Ⅰ. 서론
Ⅱ. 〈빛나는 아이〉 자체에 집중하기
Ⅲ. 〈빛나는 아이〉 뒤의 세계
Ⅳ. 〈빛나는 아이〉의 앞의 세계
Ⅴ. 〈빛나는 아이〉의 세계관과 이에 대한 기독교적 조망
Ⅵ. 기독교 세계관으로 회복하기
Ⅶ.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현은자,김주아. (2019).Vanhoozer의 신학적 문화해석에 기초한 자바카 스텝토의 〈빛나는 아이〉(2016) 해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 (2), 41-73

MLA

현은자,김주아. "Vanhoozer의 신학적 문화해석에 기초한 자바카 스텝토의 〈빛나는 아이〉(2016) 해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2(2019): 4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