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 스마트폰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놀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10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ren's playfulnes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금정연 정정희 정효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2호, 75~9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 스마트폰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유아 놀이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도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5세 266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은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 놀이성의 조절효과를 알아 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 양육태도와 유아 스마트폰 의존성간, 유아의 놀이성과 스마트폰 의존성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으나, 어머니 양육태도와 유아 놀이성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놀이성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놀이성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자발성과 신체적 자발성의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특히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거부적일수록 유아의 사회적 자발성이 높은 집단에서 스마트폰 의존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 스마트폰 의존성이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시점에서 관련 부모변인과 유아변인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부모의 올바른 양육태도 확립의 필요성과 유아 놀이성 함양의 중요성을 밝혔다는데 그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children’s play behavior on the influence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the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66 children aged 5 years (149 boys and 117 girls) and their mothers who wer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in G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 smart-phone dependency and children’s play behavior,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smart-phone dependency, we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children’s playfulness and smart-phone dependenc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playfulness. Second, the children’s playfulness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smart-phone dependency.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playfulness, social spontaneity and physical spontaneity, were confirmed. Especially, the more rejected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was, the lower the smart-phone dependency was in the group with high social spontaneity of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 provide basic data on related parent variables and children variables at the time when the dependence of children on smart-phones is becoming a social issue. Based on the results, we found it necessary and important to establish proper parenting attitudes and to develop children’s playful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 스마트폰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놀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인권교육 경험을 통한 유아 인권감수성의 특성
- M. Buber 철학으로 바라본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의미 : '대화'와 '만남'을 중심으로
- 그림책 내용분석 논문의 연구 동향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Vanhoozer의 신학적 문화해석에 기초한 자바카 스텝토의 〈빛나는 아이〉(2016) 해석
- 영아그림책의 시각적 표현 방식에 관한 비교문화적 탐구 : 한국과 프랑스 수세기 개념그림책
- 유아 동극 활동의 창의적 개발과정을 통한 예비유아교사 대학생의 창의성 인식 고찰
- 유아교사의 직업적 웰빙과 소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유아의 다문화감수성과 인지능력, 언어능력, 정서능력,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