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을 통한 행복감에 대한 연구
이용수 1
- 영문명
- A Study on Feeling of Happiness through Picture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신혜은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9권 제2호, 163~18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을 통해 경험하는 행복감에 대한 연구로서, 우리가 어떤 그림책에서 행복 정서를 경험하는지, 또 어떤 요소들이 우리로 하여금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행복 그림책을 찾기 위해서 일본과 미국의 주제별 그림책의 목록을 검토하였으며, 우리나라의 목록을 작성하기 위해서 10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그림책 관련 분야 전문가 24명을 대상으로 자신이 행복감을 느꼈던 그림책을 10권씩 선정하게 하였다. 그리고 각 그림책에 대해 선정 이유를 답하게 하였다. 이 절차를 통해 총 154권의 그림책이 선정되었으며, 3인 이상의 추천을 받은 22권이 최종적으로 분석되었다. Keyes(2002)의 안녕감의 typological model과 Maslow의 욕구이론에 따라 각 그림책이 어떤 안녕감의 유형과 욕구 범주를 충족시켜 주는지가 분석되었다. 결과 17권이 높은 주관적 안녕감과 낮은 심리적 안녕감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5권이 높은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범주에 속했다. 참여자들이 행복을 느낀 그림책들은 대부분 사랑과 소속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안전의 욕구와 생리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hich picturbooks were for experiencing happiness to readers. And what were the key factors of reader's happiness through the picturebooks. Some of picturebooks list in Japan and U. S. were reviewed to find picturebooks for happiness in Korea. Twenty four experts related to picturebook were participated in selecting 10 picturebooks they experienced happiness before. They were then requested to answer the reasons for their selection. In the result, 154 picturebooks were first collected and 22 picturebooks nominated more than three times among them were finally analysed based on Keyes's typological model and Masolw's need hierarchy. Only five picturebooks of them were categorized in high-subjective and high-psychological well-being. In relation to satisfaction of need, love and belonging need was the important factor for experiencing happiness for the participants. Safety need and physiological need followed it in orde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의 분석
Ⅳ.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