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자의 내용이해 방식이 독서를 통한 행복경험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
- 영문명
- The Effects of Subjective Interpretation on Happiness caused by Reading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화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9권 제2호, 51~7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독서가 개인의 행복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전공분야 대학생 49명을 대상으로 독서와 현실경험의 차이점과 유사점에 대한 의견을 묻고, 최근과 아동기의 독서경험을 회상하도록 하여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시켰던 책의 장르, 내용, 각 감정유발의 이유 등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자들은 독서를 통해 느낀 행복감은 실생활과는 다른 가상의 체험이라 보는 경우가 많았지만, 책을 통해 느낀 감정을 실생활에 연결 짓는다면 실생활에서의 행복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또한 독서를 통해 유발된 행복 또는 불행감은 책의 장르나 객관적인 내용보다는 주관적 감상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즉, 독자가 문학작품 안에서 어떠한 내용에 의미를 두고 비평적인 판단을 하느냐에 따라 독서를 통해 행복을 경험하느냐의 여부가 달라졌다. 이러한 결과는 문학교육 또는 독서치료 장면에서 단순히 행복을 경험하고 긍정적인 삶의 태도로의 변화를 꾀하는 도서의 목록화보다 어떻게 책을 읽고, 감상하고, 비평하는가의 일련의 과정에 교육자 또는 치료자의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는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ontributing factors to the happiness caused by reading books. Participants were 49 university students in the various majored departments. They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sking the difference of experiences of happiness between in the books and reality, the genre and the synopses of books induced happiness or unhappiness when they remembered the books that they read for the last 6 months or in their elementary school period, and the reasons for happy or unhappy after the reading, The most students thought that happiness though reading is not real. However, they suggested that the happy impression of the book can promote the happiness in the real lif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ading, happiness came under the influence of not objective factors of the book like genre and synopsis but subjective factors like interpretation and critic. Also, the reasons for happines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ages that they were reminded. These results tell us that we need to understand preferentially a person rather than a book for literature education and bibliotherapy.
목차
I.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