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유아 간의 관계 분석
이용수 12
- 영문명
-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Young Children in Picture book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최미숙 박지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9권 제2호, 77~9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유아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출간된 그림책 중 가족 형태가 묘사된 전래 그림책 50권과 창작 그림책 130권을 선정하여 그림책에 나타난 가족의 형태,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의 역할유형, 부모-유아 간의 의사소통 유형, 부모-유아 애착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 후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그림책에는 한 부모 가족보다는 양부모 가족형태가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가족의 혈연관계 형태는 친부, 친모의 형태가 계부, 계모의 형태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계부, 계모의 경우는 낮은 비율을 차지했다. 둘째, 그림책에서의 부모-유아 양육태도는 허용형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권위형, 방임형, 독재형의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 역할유형은 건강, 안전, 보호의 역할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서, 사회성 배양의 역할, 훈육, 사회가치관 전달의 역할, 바람직한 성격, 능력 개발의 역할, 인적 환경조성의 역할 순서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부모-유아 의사소통 유형에서는 긍정적 의사소통 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정적 의사소통, 중립적 의사소통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유아 애착유형에 대한 분석은 안정애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저항애착, 회피애착, 복합애착 순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purpo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young children in picture book; form of family, child-rearing attitude, role type of parents, communication and attachment type between parents and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total 180 picture books were selected that published from 1998 to 2007.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al two parents was included more frequently than one parents in form of family. Second, permissive type was the most frequent among child-rearing attitude of parents. Third, physiological protection type was the most frequent among role type of parents. Fourth, affirmation type was the most frequent among communication type between parents and young children. Fifth, secure attachment type was the most frequent among attachment typ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