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

영문명
The Effect of Picture Storybook Making Activity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김호 노영희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3권 제1호, 75~9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만 4세 유아 44명이며, 실험집단(22명)은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을 전개하였고, 통제집단(22명)은 일반적인 유치원 교육과정을 내에서 생활주제에 따른 언어 활동을 전개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언어 창의성, 도형 창의성, 작품평가를 통한 창의성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icture storybook making activity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4 four-year-old children attending two kindergartens in Daejeon. Experimental group was sampled from J kindergarten, and control group was sampled from kindergarten attached to M elementary school. Each group consisted of 22 young children (10 boys and 12 girl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f picture storybook making activity on increasing young children`s language creativity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f picture storybook making activity on increasing young children`s figure creativity (fluency, originality).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picture storybook making activity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Forth,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f picture storybook making activity on increas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based on the expert`s rating of children`s work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호,노영희. (2002).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3 (1), 75-99

MLA

김호,노영희.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3.1(2002): 75-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