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과 영상기술의 만남 : 그림책비디오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Picture Book and Audiovisual Technology: About Video Based on Picture Book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세희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3권 제1호, 57~7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재 가정이나 유아교육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그림책비디오의 생성과정과 발달과정을 살펴보고 그림책비디오가 어린이에게 문학을 전달하는데 바람직한 수단인지 그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림책비디오는 Weston Woods를 중심으로 어린이 책을 기반으로 한 필름제작에서 시작하여 텔레비전, VCR, 비디오카세트의 발달에 힘입어 필름스트립이 현재의 그림책비디오로 제작되었다. 나아가 그림책비디오는 다양한 제작기술을 도입하여 더욱 세련된 형태로 제작 출시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제작진들은 원작에 충실한다는 철학을 고수하면서 교육현장의 많은 요구들을 수용하여 교육적인 성격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책비디오는 그림책과는 다른 차원의 영상예술적인 면에서 어린이들에게 훌륭한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고, 어린이의 이야기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으며, 어린이를 문학의 세계로 인도할 수 있으며, 실용적인 측면에서 시각적으로 큰 그림을 제공하여 동시에 많은 유아들이 문학적 경험을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어린이가 그림책을 볼 때 보다 그림책비디오를 볼 때 내적 이미지 형성에 대한 노력을 적게 할 가능성과 장기적으로 습관이 될 가능성도 있다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다. 그러므로 그림책비디오는 그림책을 대치하는 수단이기 보다는 그림책과 연계하여 사용하여 어린이의 여러 측면의 발달을 돕는 문학의 전달매체로서 사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좋은 비디오를 선택하여 어린이들에게 적절히 제공하는 교사, 부모, 도서관 사서의 보다 책임있는 역할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formative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video based on picture book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video based on picture book to be a desirable tool delivering children`s literature. The video based on picture book has started from the films based on picture book and has evolved with the development of television, VCR, and video cassette. The videos based on picture book are now produced by a multitude of production techniqu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stories and their graphic style. The artwork in picture books has been transferred the from the page to the screen faithfully accepting the need of teachers. The strong points of video based on picture book are offering the good story telling for children in the audiovisual art dimension, improving young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ability, leading the children to the world of literature, and offering shared literature experience for many children simultaneously by the big screen(pictures). Video based on picture book also has a weak point. Children could make less effort to create inner image, watching video based on picture books rather than reading picture books. What is more, it could be a bad habit eventually. Therefore, videos based on picture book should be used for introducing books to children rather than substituting books. Futhermore, it is a duty for teachers, parents, and librarians to select the good videos and offer them to children in a right way.
목차
Ⅰ. 서 론
Ⅱ. 그림책비디오의 생성과 발달
Ⅲ. 그림책비디오의 시청
Ⅳ. 결 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