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정 밖 청소년의 시설 거주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이용수 16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Living in Facilities of Homeless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남미자 김시연 마한얼 정찬송 정용림 황혜신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7권 제1호, 117~14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가정 밖 청소년의 시설 거주 경험에 관한 심층적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에 성별, 지역, 가정 밖 주거 경험 등을 고려한 30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고 1~2회의 면담을 수행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가정 밖 청소년 상당수는 가정폭력, 보호자와의 갈등으로 인하여 더이상 원가정에 머물 수 없는 상황에서의 탈출에 가깝다. 그들은 가정 밖 상황 속에서 여기저기를 떠돌게 되며 그 과정에서 청소년쉼터 등 청소년 보호시설이외의 다른 선택지를 찾기 어렵다. 그러나 가정 밖 청소년의 거주 시설로서 청소년쉼터 등은 대개 시설의 입소, 전원, 퇴소 등의 과정에서 청소년의 의사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으며, 인권침해적 규칙 등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상당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년쉼터 등의 시설에서 가정 밖 청소년들은 집단괴롭힘 등의 폭력에 쉽게 노출되었으며, 특히 성소수자 청소년들은 안전의 위협을 크게 받았다. 여러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가정 밖 청소년들은 시설 이외의 다른 대안이 없기 때문에 감내하고 버티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가정 밖 청소년의 주거에 대한 지원이 단지 머무는 공간으로서가 아니라 존엄과 정체성을 드러내는 장소(place)로서의 의미를 가져야함을 시사하며, 이는 가정 밖 청소년의 시민권 보장이라는 점에서 공교육의 역할도 종요하게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depth the experiences of adolescents living in youth shelters outside the home. Accordingly, 30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considering gender, region, and out-of-home housing experiences, and one or two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Many teenagers outside the home are no longer able to stay at home due to domestic violence and conflicts with their guardians. They wander around in situations outside the home, making it difficult to find options other than youth shelters. However, as a residential facility for youth outside the home, youth shelters do not fully reflect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entering and leaving. There were many shelters which had rules that violated human rights. In addition, at facilities such as youth shelters, youths outside the home were easily exposed to violence such as mass harassment, and LGBTQ youth in particular had their safety threatened. Despite various difficulties, youths outside the home persevered because they had no alternative other than these facilities. Thes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support for the housing of adolescents outside the home should signify a place to be treated with dignity and respect, not just as a place to stay. Also, the role of public education is to encourage respect for the citizenship of adolescents outside the home.
영문 초록
목차
1. 가정 밖 청소년은 누구인가?
2. 가정 밖 청소년 관련 연구
3. 연구방법
4. 가정 밖 청소년의 주거 상황
5. 장소화된 주거와 시민적 권리로의 전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유아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탐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와 실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