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이초 사건과 초등 교사의 정체성 변화 : 자문화기술지적 접근

이용수  19

영문명
The Seoi-cho Incident and the Change of Elementary Teacher Identity : An Autoethnographic Approach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권혁은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7권 제1호, 149~18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이초 사건’은 2023년 7월, 서울 서이초등학교 교사가 교내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이다. 서이초 사건 이후 분출되었던 교사들의 전국적 연대와 결집은 그들의 정체성에 변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논문은 연구자이면서 연구참여자인 ‘나’의 경험을 중심으로, 서이초 사건이 초등 교사의 정체성을 어떻게 자각시켰고 변화시켰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교직 경력을 거치면서 나의 정체성에 생긴 변화를 ‘생존’과 ‘위축’, 그리고 ‘참여와 자각’의 세 단계로 제시하고 있다. ‘생존’ 단계에는 학생과의 긍정적 관계 맺기를 통해 교육적 상호작용의 가치를 체험하는 초임교사의 이야기를 담았다. 반면, ‘위축’ 단계에서는 학부모들의 무차별적인 민원에 부딪히면서 교사로서 자신감을 상실하고 위축되어 가는 모습을 담았다. 마지막으로 ‘참여와 자각’ 단계에는 서이초 사건을 계기로 위축된 정체성을 인식하고 집단행동에 참여하면서 다시 자신의 긍정적 가능성과 성장을 경험하는 교사의 이야기를 담았다. 본 연구는 자문화기술지적 접근을 통해 초등 교사의 정체성이 사회문화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변해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서이초 사건이 교사들에게 갖는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Seoi-cho incident' is when a teacher at Seoi Elementary School in Seoul took her own life on campus in July 2023. The outpouring of national solidarity and unity among teachers after the Seoi-cho incident suggests a shift in their identities.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I," the researcher and participant, this study explores how the Seoi-cho incident made me aware of and changed my identity as an elementary teacher. This study shows the changes in my identity through my teaching career into three stages of 'Survival', 'Atrophy', and 'Participation and Awareness'. In the 'Survival' stage, there is the story of a novice teacher experiencing the value of educational interactions through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Atrophy' stage includes the teacher who lost her confidence and atrophied as a teacher while encountering indiscriminate complaints from school parents. Lastly, the 'Participation and Awareness' stage captures the story of a teacher who realizes her atrophied identity to trigger the Seoi-cho incident and experiences positive possibilities and growth again by participating in collective ac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pecifically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identities change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through an autoethnographic approach and analyzes the meaning of the Seoi-cho incident for teachers in depth.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교사 정체성의 변화 과정
5. 논의
6.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혁은. (2024).서이초 사건과 초등 교사의 정체성 변화 : 자문화기술지적 접근. 교육인류학연구, 27 (1), 149-180

MLA

권혁은. "서이초 사건과 초등 교사의 정체성 변화 : 자문화기술지적 접근." 교육인류학연구, 27.1(2024): 149-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