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 전공 특수교사의 특수학교 미술 수업 경험 :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14
- 영문명
- Art Class Experience in a Special School by a Special Education Teacher Specializing in Art : Focus on Arts-Based Autoethnography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한송이 이미숙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7권 제1호, 37~75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미술을 전공한 특수교사가 특수학교 미술 수업에 대한 연구자의 성찰적이고 자기반성적 이야기를 통해, 특수학교에서 특수교사의 정체성 및 역할에 대한 고민과 미술 수업에서의 어려움, 교육에 대한 고찰 등을 깊이 있게 들여다보았다. 또한 미술을 전공한 연구자의 예술가적 정체성이 장애학생 미술 수업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 연구 방법을 통해 연구자가 자신의 수업에 대한 자기 성찰 및 고찰의 과정을 ‘회화’라는 시각 미술 장르를 통해 발견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연구자의 경험과 감정을 생동감 있게 표현해 나가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자문화기술지 방법으로 1인칭 시점에서 관찰하고 기술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자가 속한 사회 맥락적 구조와 문화적 측면과 맞닿아 있는 접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장애학생 미술교육이 지닌 차별성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기회를 주었다는 점과 특수교사의 미술교육 전문성에 대한 논의를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delved deeply into the reflective and self-reflective narratives of a special education teacher with a major in art, exploring concerns about the identity and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difficulties in art classes, and reflections on education. Additionally, it aimed to examine how the artistic identity of a researcher majoring in art influences art class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method of art-based autoethnography, the researcher sought to discover and express the process of self-reflection and contemplation on their teaching through the visual art genre of 'painting,' raising issues and vividly expressing the researcher's experiences and emotions. This research observed and described from a first-person perspective using the method of reflective journaling, aiming to find points of contact with the societal and cultural aspects of the researcher's context.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distinctiveness of ar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aised discussions about the art education expertis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연구의 방법론적 접근
3. 미술 수업을 통해 ‘나’를 되돌아보다
4. 장애학생 미술교육의 길을 찾다
5.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