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제중심의 통합단원 설계모형의 근거이론적 접근
이용수 5
- 영문명
- Grounded theoric approach to application of interdisciplinary concept model to a Korea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홍영기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7권 제2호, 111~13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7.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제중심의 통합단원의 설계 및 운영에 있어 제이콥스(Jacobs, 1989)가 제시하고 있는 통합교육과정 설계 모델이 우리 나라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교과통합을 실시할 때 어떻게 수정 보완되어 적용되어야 할 것인가를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해 살펴보았다. 제이콥스의 모델에서 통합단원 설계의 전제조건으로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을 통한 학생중심의 주제설정, 시간표와 진도 조절, 통합 일(integrated day) 또는 통합주간의 설정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정규교육과정 이외에 별도의 통합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을 때 전제조건이다. 즉,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의 재량권이 한정적인 우리 나라 초등학교 현실에 비추어 볼 때 교육과정 운영상의 어려움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규교육과정 내에 교과간 통합을 실시하는 방안을 제이콥스의 모델을 근거이론으로 하여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과서 분석을 통한 교사중심의 잠정주제의 설정과 제시, 마인드맵핑(mindmapping)을 통한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동기 유도 및 통합대상 교과시간에서 활용할 학생들의 풍부한 아이디어 수렴, 기존의 진도를 중심으로 한 통합단원의 실시, 통합단원 활동시간의 마련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해 수정 보완된 통합단원 설계 및 운영 모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discover the possible ways of applying Heidi Jacobs' interdisciplinary concept model to the Korean elementary classroom in designing interdisciplinary units. In doing so, the researcher designed and implemented a theme-centered interdisciplinary unit based on Jacobs' model for the 5th graders. During implementation, the researcher collected qualitative data from classroom observations, content analysis, and classroom meetings.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mong the data was used as an analysis method of collected data. Based on the stud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hen selecting a temporary socially raised issue in Korea, as time goes on, students' interest decreased dramatically. In addition, integration among subject areas seemed to be limited. Therefore, it could be a better way to analyze the textbooks in advance and then select a relevant theme. Second, there were stumbling blocks in gathering plenty of students' ideas through brainstorming in group because students did not participate voluntarily. Therefore, mindmapping in several small groups in a class was more effective strategy to gather students' ideas. Third, there was no room to arrange integrated days or weeks and frequent blockscheduling in an academic year in research site. Such limitation could be overcome through teaching a selected theme during integrated subjects class hours, and scheduling interdisciplinary unit activity classes for 46 hours. There is a belief that this idea will enhance students' generative learning skills.
영문 초록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의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제이콥스 모델의 근거이론적 접근과정
Ⅴ. 결 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