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교육연계의 성격에 관한 사례연구: 난곡지역을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A Case Study on the Character of Nangok Community Education Network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윤여각 서덕희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7권 제2호, 29~5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7.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의 문제는 지역교육의 실태에 대한 파악으로부터 풀어나가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난곡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지역활동가들을 면담함으로써 이들이 오랜 시간 지역의 문제에 직면하여 어떤 교육활동을 전개하였는지, 그 전개과정에서 어떠한 성격의 연계를 형성하였으며 깨닫게 된 점은 무엇인지를 드러내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가난의 대명사”로 불리는 난곡지역에서 지역활동가들은 교육과 종교를 매개로 자리잡기를 시도하였으며, 난지협을 구성하면서 지역에 녹아들게 되었다. 지역에서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역활동가들은 지역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전문성을 쌓아나가게 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관과도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지역활동가들은 여기에 안주하지 않고 자신들이 주도하는 교육이 아니라 지역주민들이 주도해 나가고 자신들을 포함하여 지역의 다양한 자원들이 이에 조력하는 방향으로 지역교육을 전개해 나가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이들의 이러한 경험은 교육을 ‘지역’을 중심으로 이해하고 그 이해의 기반 위에서 교육정책을 추진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지역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역사적으로 형성된 지역교육연계의 성격을 파악하고 지역활동가들이 경험을 통해 얻은 지혜를 배울 필요가 있다. 그들이 말하는 자율성, 개방성, 호혜성의 연계 원리는 그런 점에서 주목할 가치가 있다.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practical problems of education should be solved with the comprehension of community education practices. This study focused upon revealing what kind of educational activities community workers in Nangok area have performed to cope with the urgent problems of community, what kind of network they have formed, and what they have learned in doing so. Community workers in Nangok which is called “the symbol of poverty" tried to settle through education and religion, and have succeeded in the establishment of Nangihyup(Association of non profit/ non government organizations for Nangok Community). Through various activities, they have developed their own expertise and have formed the partnership with local government. However,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y searched for a new paradigm transformation from community workers-centered education to community residents-centered one.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community workers can give a fruitful suggestion for the policy makers of community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s of communit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mprehend the established network of community educ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and to learn the experiences from community workers. Their network principles such as autonomy, openness, and reciprocity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지역교육연계의 성격
Ⅲ. 지역교육연계의 원리
Ⅳ.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여각,서덕희. (2004).지역교육연계의 성격에 관한 사례연구: 난곡지역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7 (2), 29-55

MLA

윤여각,서덕희. "지역교육연계의 성격에 관한 사례연구: 난곡지역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7.2(2004): 29-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