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예비 교사의 실습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Narrative Inquiry on Prospective Teachers` Teaching Practices at a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이혁규 심영택 이경화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6권 제1호, 141~196쪽, 전체 5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01.31
9,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로 다른 전공 배경을 가진 같은 대학의 교사 교육자들이 초등 예비 교사의 실습 활동을 내러티브 연구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내러티브 연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자들은 예비 교사의 실습 체험에 대해 객관적으로 기술하기보다는 연구자들이 연구 현장 속으로 들어가서 경험한 삶의 체험을 이야기 형식으로 서술하였다. 연구자들이 내러티브 연구를 처음 수행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다차 원적인 대화의 성격을 가진다. 우선, 이 연구는 교사 경험을 내러티브 적 방법으로 연구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주장하는 내러티브 연구 전통과의 대화이다. 다음으로, 새로운 연구 방법이 주는 시사점을 바탕으로 경험을 공유하고 진정한 관계 형성에 대해서 고민했던 - 때로는 성공적인, 때로는 좌절을 맛보기도 했던 - 연구자들 간의 대화 기록이 다. 마지막으로는, 연구자와 연구 대상자라는 관계를 넘어서서 ’친구 같은 교사’, 평등한 우정을 경험하려고 노력했던 교수와 학생들간의 어설 픈 시도에 관한 기록이다 그러나 사실, 이상의 어느 한 가지도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특히, 연구 참여자와의 경험 공유를 통해 진정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는 짧은 연구 기간과 기존에 설정된 권력 관계 등으로 인해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동 연구자들은 이 연구를 통해 기 존의 연구 방법에 대해 반성할 수 있는 생활적 계기를 얻을 수 있었다. 동시에 연구자들은 예비 교사들의 실습 활동에 대해서 보다 깊은 이해 에 도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예비 교사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몇몇 실천적인 제안도 하였다. Using the narrative method, three teacher educators majoring in different subject-matters - Korean language educatio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Mathematics education -, at the same university of education have co-worked in order to study prospective teachers` two week-teaching practices at a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ers described the teacher trainees` experiences, not from a `objective viewpoint, in which the researchers should be distant from the informants` life experiences, but by means of the narrative style, where researchers walked into the midst of the trainees` field experiences and intermingled the researchers` experiences with those of their participants. This narrative inquiry, with which the researchers performed it for the first time in their life histories of researchers, is characterized as multi-dimensional dialogues. First, it was a dialogue with the narrative research tradition, which asserted that narrative research was most legitimate method for studying the life experiences of teachers. Second, it was a dialogue among co-researchers who wanted to share their research experiences fully with each other. Finally, it was a description of a dialogue between teacher educators and prospective teachers who tried to experience authentic relationships, transcending formal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er and respondents during research period. These 3 forms were not enough. In particular, the Sharing of experiences between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was lacking due to the short research periods and the culturally predetermined power relationship. But this inquiry gave a chance for researchers to compare their research method with the new perspective, reflect on research methods, gain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prospective teachers' practicum, and make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reform of prospective teachers' education program.

영문 초록

목차

I. 이야기를 시작하며
II. 연구 전통과의 말 걸기
III. 이야기 현장 속으로
IV. 체험, 그리고 우리의 이야기
V. 이야기를 정리하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혁규,심영택,이경화. (2003).초등 예비 교사의 실습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6 (1), 141-196

MLA

이혁규,심영택,이경화. "초등 예비 교사의 실습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6.1(2003): 141-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