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덕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활성화를 위한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Utilization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Moral Development and Values Education Study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김정효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6권 제1호, 97~11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1.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질적 연구방법을 도덕교육연구에 어떻게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인가 하는 도덕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활성화를 위한 탐색에 그 목적 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이 글에서는 도덕교육에서의 질적연구 활성화의 필요성, 기여점, 연구주제, 과제 둥이 논의되었다. 첫째, 현상의 파악이 없이 기계적인 처방의 도입이 주류를 이루어온 도덕교육연구는 질적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점. 둘째 질적 연구는 교육전반에 배어있는 가치문제에 대한 각성,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학문적 논의 유발, 도덕교육의 문제에 대한 총체적 접근, 새로운 사회의 도덕문제에 대한 탐색 등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도덕교육에 기여한다는 점, 셋째 잠제적 교육과정의 가치, 도덕교육의 교수와 평가 방법, 도덕성 발달현 상, 사회변화에 내포된 가치문제의 탐색 등이 도덕교육의 질적 연구 주 제가 될 수 있다는 점 풍이 논의되었다. 마지막으로는 질적 연구방법을 파라다임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연구기법으로 접근되어야 한다는 점이 도덕교육에서 질적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로 지적되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o utiliz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moral development and values education study.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four themes are discussed: First, why do we use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moral education study? Second, how doe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ontribute to the field of moral development and values education?; Third, what are the concrete themes to be dealt with in term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these fields? Forth what are the issues and problems for the utilization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the fields?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도덕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필요성
III. 도덕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기여
IV. 질적 도덕교육연구의 탐구범위와 탐구주제
V. 도덕교육에서 질적 연구의 과제
VI. 결어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