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귀국반' 구성원의 상호이해 과정
이용수 3
- 영문명
- The Process of Mutual Understanding in 'Returnee Clas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권효숙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6권 제1호,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1.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에 나타난 귀국학생의 급속한 증가 현상은 학교 장면에서 이들의 교육 문제를 새로이 인식하고 대처해야 할 필요성올 제기하고 있다. 그 동안 귀국학생은 적용의 대상으로 파악되었으며, 성공적인 적응의 판별 은 한국 학교의 요구를 얼마나 빨리 만족시키는가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 학교의 적용교육이 ‘한국 학생 만들기’에 초점 올 맞추고 있으되, 상대적으로 다양한 문화적 경험과 적용 과정 자체의 교육적 의미에는 큰 관성을 기울이지 못하고 있음올 의미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귀국반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귀국반의 주요 구성원들이 구체적인 맥락에서 어떻게 서로를 이해해 나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교육현장의 인적 요소는 교육 현상의 의미 구성에 중요한 맥락을 제공 하는데, 특히 이 연구에서는 교사와 아동에게 주목하였다. 또한 그들의 상호작용 및 변화과정을 통하여 기존의 적응개념을 반성적으로 고찰하면서 교육적인 적응의 가능성올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The number of returnee students has been increased rapidly and therefore it has raised the necessity of re-consideration about their education. Most people have recognized the students as the ones who have to adjust to the Korean school system. In such circumstances successful students have been regarded as those who satisfy the demands of Korean school quickly. It means that adjustive education is not so much concerned with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erience.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importance of the mutual understanding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of returnee class. Because the members of the class, especially teachers and students,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to compose the meaning in the educational situations. For the progress of the adjustive education, the concept of 'adjustment' is required to be reconsidered. It can be also helpful for practices of the Korean returnee education.
영문 초록
목차
I. 문제의식
II. '귀국반'의 제도적 환경
III. 교사와 아동의 상호이해 과정
IV. 상호이해 과정의 교육적 의미
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