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생부종합전형이 주형하는 학력관 형성 메커니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S대 신입생들의 대입 준비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174
- 영문명
- A grounded theory study on the mechanism for forming academic competence views based on comprehensive student records-based selection system : Focusing on the university entrance preparation experience of S University freshme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저자명
- 김현수 남유진
- 간행물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제34권 제3호, 49~8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시행 이후 한국 고등학교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을 준비한 경험이 있는 국내 최상위권 대학 입학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학력관과 그 형성 과정을 분석하고 이론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4학년도에 S대학교에 입학한 11명의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근거이론적 방법을 통해 이들의 대입 준비 경험과 학력에 대한 관점이 형성되는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학벌주의, ‘명문대’ 진학 실적을 중요시하는 고교 문화, 이분화된 대입 전형이라는 인과적 조건을 바탕으로 학생부 ‘가꾸기’의 과정으로 명명할 수 있는 중심현상을 경험하였다. 학생들은 내신 경쟁과 학생부 채우기의 과정 속에서 ‘최대한의 자원 동원 전략’, ‘극단적인 과업 처리 전략’, ‘주도적인 협상 전략’, ‘효율적인 자원 배분 전략’을 통해 제도에 대응하였다. 그 결과로 학생부종합전형 준비의 과정은 학생들에게 ‘주도적인 자원관리 능력’, ‘육각형 인재상으로 대표되는 다재다능성’, ‘자기-마케팅적 성실성’으로 특징 지어지는 학력관을 주형하였다. 학력관 형성 과정의 이러한 특징은 이들로 하여금 학업성취능력에 국한된 학력관을 탈피하도록 했으나 동시에 자기 주도적으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대입에서의 성공을 전략적으로 쟁취하는 능력을 강조함으로써 학력의 자기-귀속화 경향을 강화시켰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theorize the views on competency and the process of their formation among students admitted to top-tier universities in Korea, who have prepared for admission through a student record-based selection proces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freshmen entering University S in the academic year 2024 to analyze their college preparation experiences and the mechanisms by which their views of academic competence are formed through grounded theory method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a central phenomenon that can be characterized as a process of student affairs “grooming” based on the causal conditions of meritocracy, a high school culture that emphasizes performance in “prestigious” colleges, and a dichotomized college admissions process. Students responded to the system through 'maximizing resource mobilization strategies', 'extreme task handling strategies', 'proactive negotiation strategies', and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strategies' in the process of admissions competition and student record filling. As a result, comprehensive student records selection system molded a particular view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study participants. These were summarized as 'proactive resource management ability', 'versatility represented by the hexagonal talent image', and 'self-marketing integrity'. These features of the educational attainment process helped them to break away from the test-oriented educational attainment, but at the same time, they reinforced the self-attribution of educational attainment by emphasizing the ability to proactively manage resources efficiently as a strategy to achieve college succes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최상위권 대학 신입생들이 경험한 학생부종합전형을 통한 대입 준비 경험
Ⅴ. 학생부종합전형이 주형하는 학력관 형성의 메커니즘 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 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학점제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및 요구 분석: 소규모 직업계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소규모 초등학교 학부모의 학교 교육 만족 요인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서이초 교사 추모 집회와 연대하는 교사의 탄생 : 교사 집회 상호작용 의례 분석
-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학교효과 차이 분석 : 초등학생의 학교경험과 사회정서역량이 학업성취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학생부종합전형이 주형하는 학력관 형성 메커니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S대 신입생들의 대입 준비 경험을 중심으로
- 학교를 벗어난 개인은 어떻게 범주화되어 왔는가? : ‘학교 밖 청소년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