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학교효과 차이 분석 : 초등학생의 학교경험과 사회정서역량이 학업성취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용수 202
- 영문명
-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School Effects according to Socioeconomic Background : Focusing on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Experience and Social and Emotional Skills o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저자명
- 이동호 김성식
- 간행물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제34권 제3호, 157~19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경험이 교육격차 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정서역량 측면에서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정서역량과 학업성취의 초기값과 3년간의 선형 변화를 가정한 잠재성장모형을 설정하였다. 학교경험이 사회정서역량의 초기 수준이나 발달을 매개하여 학업성취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영향 관계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KCYPS 2018의 초4 코호트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표본은 부모소득을 기준으로 저·중·고소득의 3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정서역량의 수준이나 발달은 학업성취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와 같은 양상은 저소득 집단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특히 일부 학교경험은 사회정서역량의 수준을 매개하여 학업성취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데 저소득 집단에서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가정의 불리함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학교 교육의 역할을 보여주는 것이며, 학생의 성장과 향후 삶을 위해 이른 시기의 사회·정서적 지원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experience on bridging the educational gap in terms of social and emotional skills. A potential growth model was established, assuming initial values of social and emotional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along with a linear change over three years. The effect of school experience o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was examined by mediating the initial level or degree of change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and emotional skills, and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differs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The elementary 4th grade cohort data from KCYPS 2018 were used, and the sample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low, middle, and high-income— based on parents' income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and development of social and emotional skills had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is pattern was prominent in the low-income group. In particular, some school experiences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by mediating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y, and the effect was significant in the low-income group. These results highlight the role of school education in helping to overcome familial disadvantages and suggest that early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is crucial for student growth and future lif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 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학점제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및 요구 분석: 소규모 직업계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소규모 초등학교 학부모의 학교 교육 만족 요인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서이초 교사 추모 집회와 연대하는 교사의 탄생 : 교사 집회 상호작용 의례 분석
-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학교효과 차이 분석 : 초등학생의 학교경험과 사회정서역량이 학업성취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학생부종합전형이 주형하는 학력관 형성 메커니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S대 신입생들의 대입 준비 경험을 중심으로
- 학교를 벗어난 개인은 어떻게 범주화되어 왔는가? : ‘학교 밖 청소년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