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후변화교육을 위한 로봇 활용 보드게임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123
- 영문명
- A Development of Board Game Program Utilizing Robots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 발행기관
-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 저자명
- 고은진 김갑수
- 간행물 정보
-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14권 제2호, 75~8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다양한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으며 한국도 2022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기후변화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5학년을 위한 12차시의 비누(VINU) 로봇 및 보드게임을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인식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매우 높았으며(평균 4.57/5), 로봇과 보드게임의 활용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로봇과 보드게임을 결합한 교육 프로그램이 기후변화 교육에 효과적임을 입증하며, 이러한 접근 방식이 학생들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Various global initiatives are underway to address climate change, and Korea i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limate change education through its 2022 revised curriculum. This program, designed for fifth-grade students, comprised 12 sessions focusing on climate change education using VINU robots and board games. It significantly improved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climate change, although it did not result in a substantial change in perception. Additionally,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was notably high, with an average rating of 4.57 out of 5. The use of robots and board games positively impacted their learning experienc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educational programs combining robots and board games are effective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enhanc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issu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변화교육을 위한 로봇 활용 보드게임 프로그램 개발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유네스코 2050과 2022 개정 초등 교육과정 내용 분석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교육 중심으로 -
- 디지털 탄소 발자국을 둘러싼 기후 행동과 비행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기후인식이 높은 디지털 네이티브를 대상으로 -
-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에너지 소양 분석
- 생태교육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소그룹 초등학습자의 생태소양 변화
- 생태전환교육을 반영한 초등 3학년 ‘물질의 성질’ 단원 지도 사례 연구
- 기후변화에 민감한 조류를 대상으로 한 탐사 활동이 교사, 예비교사 및 시민의 생태 인식과 태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 UCC를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소양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