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탄소 발자국을 둘러싼 기후 행동과 비행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기후인식이 높은 디지털 네이티브를 대상으로 -
이용수 365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Climate Action and Non-Action Concerning Digital Carbon Footprints: Focusing on Digital Natives with Higher Climate Awareness
- 발행기관
-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 저자명
- 정예지 윤순진
- 간행물 정보
-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14권 제2호, 57~7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디지털 탄소 발자국은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이용 증가에 따라 미래 기후위기에 영향을 미칠 새로운 문제로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기후 행동 개념에 디지털 탄소 발자국 줄이기를 추가하고 개인 일상에서의 행동실천 변화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디지털 기술 이용에 상대적으로 능숙한 디지털 네이티브인 대학생들인데, 그 가운데서도 특히 기후변화 교육을 받아 기후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아진 대학생들이다. 디지털 탄소 발자국에 대해 학습하고 넷제로 빙고를 통해 실천을 시도했지만, 디지털 탄소 발자국을 줄여나가는 데 왜 어려움을 겪는지에 관심을 두고 초점집단면접과 심층면접의 혼합연구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후 인식이 높아도 디지털 탄소 발자국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았으며 이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환경 활동 및 수업과 같은 특정 계기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높아진 인식이 지속적인 실천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데는 7가지 방해 요인, 6가지 뿌리 요인(비행동), 4가지 외부 요인이 작용함을 발견하였다. 향후 이러한 요인의 개선이 이루어질 때, 디지털 탄소 발자국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Digital carbon footprint is emerging as a critical issue affecting future climate crises due to the development and increasing use of digital technologies. This exploratory study aims to integrate the concept of reducing digital carbon footprints into the broader framework of climate action and draw implications for changing behavioral practices in individuals’ daily lives. The study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advanced proficiency in digital technologies and possess a relatively high level of climate awareness, often gained through climate change education.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discussions, the study examined why students struggle to reduce their digital carbon footprints despite learning about the issue and participating in activities like NetzeroBingo. The findings revealed a lack of high awareness regarding the digital carbon footprint, even among those with strong climate awareness. This suggests that specific triggers, such as environmental activities and educational classes, are necessary to enhance awareness. Moreover, high awareness alone did not translate into sustained action, as seven barriers, six root causes of inaction, and four external factors were identified as influencing this behavior. Addressing these factors in the future could facilitate a reduction in digital carbon footprints.
목차
Ⅰ. 서 론
Ⅱ. 기후 행동과 디지털 탄소 발자국에 관한 연구
Ⅲ. 연구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변화교육을 위한 로봇 활용 보드게임 프로그램 개발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유네스코 2050과 2022 개정 초등 교육과정 내용 분석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교육 중심으로 -
- 디지털 탄소 발자국을 둘러싼 기후 행동과 비행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기후인식이 높은 디지털 네이티브를 대상으로 -
-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에너지 소양 분석
- 생태교육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소그룹 초등학습자의 생태소양 변화
- 생태전환교육을 반영한 초등 3학년 ‘물질의 성질’ 단원 지도 사례 연구
- 기후변화에 민감한 조류를 대상으로 한 탐사 활동이 교사, 예비교사 및 시민의 생태 인식과 태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 UCC를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소양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 기업 및 성인교육 글로벌화를 위한 이슈와 과제 : 세계시민교육을 중심으로
- 코칭리더십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잡크래프팅과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중년 여성의 디지털 평생교육 참여 경험의 의미와 HRD 관점의 실천 방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