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유네스코 2050과 2022 개정 초등 교육과정 내용 분석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교육 중심으로 -
이용수 204
- 영문명
-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UNESCO 2050 and 2022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using Text Mining: Focusing on Environmental Education to Combat Climate Change
- 발행기관
-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 저자명
- 원정원 문성환
- 간행물 정보
-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14권 제2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네스코 2050과 2022 개정 초등 교육과정에서 기후변화에 대응을 위한 환경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초등교육에서 환경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고 키워드 간의 상관관계를 탐색하였다. 유네스코 2050과 2022 개정 초등 교육과정 원문을 수집한 뒤, Textom을 활용하여 키워드 분석과 연관 분석을 실시하고, UciNet을 통해 시각화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네스코 2050의 키워드 분석 결과, ‘교육’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교육에서 교육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2022 개정 초등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생활’, ‘교육’, ‘학습’이 의미 있는 상위 키워드로 추출되었으며 이는 환경교육이 생활, 교육, 학습을 중심으로 운영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2022 개정 초등 사회과, 과학과, 실과 교육과정에서는 각 교과 내용이 환경교육과 관련된 상위 키워드로 추출되었으며, 이는 환경교육이 각 교과 내용과 연계하여 담겨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유네스코 2050에서 추출된 상위 키워드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출된 상위 키워드에 나타났으며, ‘지속가능’, ‘생태’, ‘기후변화’가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다르게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상위 키워드로 추출되었다. 이는 유네스코 2050에서 말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환경교육의 방향성이 2022 개정 초등 교육과정에 담겨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d content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for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in the revised UNESCO 2050 and 2022 elementary school curricula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in relation to this. To this end, text mining techniques were used to identify keywords and explore correlations between keywords. The original texts of the revised UNESCO 2050 and 2022 elementary curriculum were collected, and keyword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extom and visualized using UciNet.
The key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keyword analysis for UNESCO 2050 shows that “education” is highly represented, emphasizing the role that education plays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climate change. Second, “life,” “education,” and “learning” were extracted as meaningful top keywords from the 2022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outline, which confirms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is to be centered on life, education, and learning. Third,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curricula for social studies, science, and practical arts, the top keywords that were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extracted for each curriculum content, confirming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is included for each curricular content. Finally, the top keywords extracted from UNESCO 2050 were found in the top keywords that were extracted from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sustainability,” “ecology,” and “climate change” were extracted as top keywords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hich formed a contrast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indicates that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as stated for UNESCO 2050 is included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변화교육을 위한 로봇 활용 보드게임 프로그램 개발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유네스코 2050과 2022 개정 초등 교육과정 내용 분석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교육 중심으로 -
- 디지털 탄소 발자국을 둘러싼 기후 행동과 비행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기후인식이 높은 디지털 네이티브를 대상으로 -
-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에너지 소양 분석
- 생태교육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소그룹 초등학습자의 생태소양 변화
- 생태전환교육을 반영한 초등 3학년 ‘물질의 성질’ 단원 지도 사례 연구
- 기후변화에 민감한 조류를 대상으로 한 탐사 활동이 교사, 예비교사 및 시민의 생태 인식과 태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 UCC를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소양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 기업 및 성인교육 글로벌화를 위한 이슈와 과제 : 세계시민교육을 중심으로
- 코칭리더십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잡크래프팅과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중년 여성의 디지털 평생교육 참여 경험의 의미와 HRD 관점의 실천 방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