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I 기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체육수업에 적용 가능한 데이터 지표 탐색에 관한 연구

이용수  113

영문명
A study on the exploration of data indicators applicable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AI-based smart devices
발행기관
한국초등체육학회
저자명
이희원 임재구
간행물 정보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0권 제2호, 77~8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AI에 기반을 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체육수업에 적합한 데이터 지표를 탐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RISS를 통해 스마트 기기 활용 체육수업 관련 논문 27편을 자료로 수집하였으며, 반복적 비교·분석과 주제 코딩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체육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데이터 지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장, 몸무게, 체질량 지수(BMI),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등 신체 능력 지표와 심폐지구력,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등 신체적 특성 지표이다. 둘째, 체육수업 시간에 참여한 비율, 활동한 시간, 수행한 운동량 등 체육 활동 참여 지표이다. 셋째, 체력과 건강의 지표 변화와 스트레스, 우울감 등 심리적 상태의 변화와 학업 성취도의 변화인 체육 활동 효과 지표이다. 이상의 AI 기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데이터 지표는 학생건강체력평가(PAPS)의 객관성과 활용도를 높이고, 맞춤형 체육수업 및 자기주도학습 구현에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suitable data indicators for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AI-based smart devices. For this purpose, 27 papers related to the use of smart devic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collected from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nd analyzed through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and theme coding. The data indicators applicable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re as follows: First, physical characteristics indicators such as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BMI),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cardiopulmonary endurance, blood pressure, blood sugar, and cholesterol. Second,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indicators such as the rat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ime spent in activities, and the amount of exercise performed. Third, physical activity effect indicators such as changes in physical fitness and health, changes in psychological states like stress and depression, and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 The data indicators utilizing AI-based smart devices can enhance the objectivity and usability of the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PAPS), and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customiz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self-directed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AI 기반 스마트 기기 활용 체육수업 데이터 지표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희원,임재구. (2024).AI 기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체육수업에 적용 가능한 데이터 지표 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0 (2), 77-89

MLA

이희원,임재구. "AI 기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체육수업에 적용 가능한 데이터 지표 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0.2(2024): 77-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