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5~6학년군 체육과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연구

이용수  214

영문명
A Case Study o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design for Grades 5-6
발행기관
한국초등체육학회
저자명
박용남 손혁준 장경환 정현수 방신웅
간행물 정보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0권 제2호, 91~11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군 체육과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를 분석하여 학년군 체육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현장에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료는 체육전담교사 1명, 담임교사 4명, 학생 4명의 연구참여자와의 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자료의 축소 - 자료의 진열 – 결과 도출 및 증명의 과정(Huberman & Miles, 1994)에 따라 충실히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로 첫째, 학년별로 중영역을 구분하지 않은 학년군 체육과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를 제시하였다. 둘째, 재구성된 교육과정의 교육적 효과로 학습자의 신체활동 선호 반영, 반복 및 심화의 나선형 교육과정 효과, 교사의 효율적인 수업 준비과정과 높은 수업 완성도, 정과외 신체활동의 활성화 및 연계 강화가 도출되었다. 셋째, 학습 내용의 집중 및 분산에 대한 교사들 사이의 의견 충돌, 재구성 교육과정과 일치하지 않는 교과서와 전출입 학생의 학습 중복 및 공백 발생 문제가 교육과정 재구성 및 운영의 어려움으로 밝혀졌다. 결론에서는 현장 교사들의 적극적인 체육과 교육과정 재구성, 학년군제를 십분 활용한 체육과 교육과정의 운영,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전문성을 함양하는 교사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se of redesigning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for grades 5 and 6 to provide the field with implications for redesigning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a PE specialist, four classroom teachers, and four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aithfully following the process of data reduction - data presentation - results and proof (Huberman & Miles, 1994).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 first, a case for redesigning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grades cluster that does not separate the middle domain by grade level. Second,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redesigned curriculum included reflecting learners' preferences for physical activity, the spiral curriculum effect of repetition and deepening, efficient lesson preparation and high lesson completion by teachers, and strengthening the activation and linkage of extracurricular physical activity. Third, disagreements among teacher participants about the concentration and dispersion of learning content, textbooks that do not match the restructured curriculum, and duplication and gaps in learning for students who move in and out of school were identified as difficulties in redesign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The conclusion emphasized the need for teachers to actively redesign the PE curriculum, the operation of the PE curriculum using the grades cluster system, and teacher education to foster the expertise of redesigning the PE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용남,손혁준,장경환,정현수,방신웅. (2024).초등학교 5~6학년군 체육과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0 (2), 91-111

MLA

박용남,손혁준,장경환,정현수,방신웅. "초등학교 5~6학년군 체육과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0.2(2024): 91-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