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개념 기반 체육과 단원 설계의 가능성 탐색: 기본 움직임 기술 (Fundamental Movement Skill)을 중심으로
이용수 324
- 영문명
- Exploring Possibility of Concept-Based Physical Education Unit Design for In-Depth Learning: Focusing on Fundamental Movement Skill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이은주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0권 제2호, 113~13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깊이 있는 움직임 학습을 위한 체육과 단원 설계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는 학교 현장의 초등교사들과 체계적인 움직임 학습의 중요성, 그리고 깊이 있는 움직임 교육의 필요성을 공유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과 개념 기반 교육과정 및 수업 설계 이론을 분석하였고, 기본 움직임 기술을 중점으로 운동발달 이론을 고찰하였다. 이후, Ericson, Lanning, and French(2017)가 제시한 11단계 실행 과정에 기초하여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개념 기반 체육과 단원을 설계하였다. 그 결과, 개념 기반 체육과 단원 설계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실천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운동발달 이론과 교수설계 이론을 제안하였고, 학문적 이론과 실천적 지식의 융합을 시도한 연구자의 고차원적 사고 과정을 체계적으로 기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수업 연구과 나눔의 실천, 참여적 실행연구를 통한 실천적 지식의 재구성, 체육과 내용지식을 반영한 전문성 강화 연수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의 다양성과 특수성이 반영된 초등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새롭게 창조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signing physical education units for in-depth movement learning, focusing on Fundamental Movement Skills(FMS), which form the basis of movement performance competency. This is to share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movement learning and the need for in-depth movement education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school field. To this end, the general introduc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each theory of physical education, exercise development theory, concept-based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sign theory were reviewed. After that, a concept-based physical education unit was designed by integrating Fundamental Movement Skills-based systematic movement learning with the concept-ba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sign theory for in-depth learning. The concept-based physical education unit design was developed based on the 11-step implementation process proposed by Ericsson, Lanning, and French(2017).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designing a concept-based physical education unit for in-depth learning was confirmed, and the foundation for theoretical knowledge for practice was established. Specifically, the theories of exercise learning and instructional design that should be reflected in the design process of the physical education unit were proposed, and the high-order thinking process of the researcher who fused the theories and the practical context of the field was systematically recorded. Based on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practic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flecting the diversity and specificity of the educational field will be newly created.
목차
Ⅰ. 서론
Ⅱ. 운동발달 학습의 이해
Ⅲ.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개념 기반 체육과 단원 설계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캐나다 초등학교의 체조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초등학교 1·2학년 체육교과 분리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자세추정 앱을 이용한 피드백이 제자리 멀리뛰기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개념 기반 체육과 단원 설계의 가능성 탐색: 기본 움직임 기술 (Fundamental Movement Skill)을 중심으로
- 초등 예비교사교육자의 일상 속 골프 경험과 의미
- 초등학교 5~6학년군 체육과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무용경연 참가 의미 탐색
- AI 기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체육수업에 적용 가능한 데이터 지표 탐색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rnational Academic Tribune Vol.2 No.2 Contents
- The Granular Representation of Syntactic Cartography
- The Image of China in Irish Literature Since the 20th Centu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