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예비교사교육자의 일상 속 골프 경험과 의미
이용수 22
- 영문명
- Experience and meaning of golf in the daily liv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 educator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고문수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0권 제2호, 41~5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교육자의 일상 속 골프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 자신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의 골프 일지와 라운딩 일지를 자료로 수집하였고, 귀납적 범주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 예비교사교육자의 골프 경험 1기(2003~2007)는 낯섦에 버티면서 노력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서는 기본 동작 습득의 어려움, 골프 연습의 이방인, 골프 연수와 전지 훈련이라는 낯선 경험 등이 범주화되었다. 골프 경험 2기(2008~2012)는 도전과 성취감을 느낀 시기이다. 이 시기는 이론으로 무장된 자세와 동작, 프로라는 닉네임 갖기, 자격증 취득과 골프 강사 되기 등이 범주화되었다. 골프 경험 3기(2013~2018)는 전문성 향상을 위해 노력한 시기이다. 골프 경험 3기는 골프 학습공동체의 구성, 골프 학습장과의 만남, 가르치기를 통한 지도 능력의 향상 등이 범주화되었다. 골프 경험 4기(2019~2023)는 골프를 통한 성장과 변화를 경험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서는 골프 학습공동체의 확장, 퍼팅과 어프로치 환경과의 만남, 골프 연습과 라운딩의 조화 등이 범주화되었다. 일상 속 골프를 통한 성장 이야기에서는 골프 연습과 라운딩에 대한 반성과 성장 그리고 골프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반성과 성장 측면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golf in the daily liv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 educators. In this study, the research participant is the researcher himself.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the researcher's golf diary and rounding diary and analyzed using an inductive category analysis method. The first period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 educators' golf experience (2003-2007) was a period of effort while enduring unfamiliarity. During this period, difficulties in learning basic movements, being unfamiliar with golf practice, and unfamiliar experiences such as golf training and field training were categorized. The second period of my golf experience (2008-2012) was a time when I felt a sense of challenge and accomplishment. This period was categorized into postures and movements armed with theory, having a professional nickname, obtaining certification, and becoming a golf instructor. The third period of golf experience (2013-2018) was a period of effort to improve professionalism. The third period of golf experience was categorized into the formation of a golf learning community, meeting with a golf learning center, and improvement of teaching ability through teaching. The 4th period of golf experience (2019-2023) is the period of experiencing growth and change through golf. In this period, expansion of the golf learning community, encounter with putting and approach environments, and harmony between golf practice and rounding were categorized. In the story of the growth of golf in daily life, reflection and growth on golf practice and rounds, as well as reflection and growth aspects for improving golf expertise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일상 속 골프 경험과 의미
Ⅳ. 일상 속 골프를 통한 성장 이야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캐나다 초등학교의 체조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초등학교 1·2학년 체육교과 분리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자세추정 앱을 이용한 피드백이 제자리 멀리뛰기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개념 기반 체육과 단원 설계의 가능성 탐색: 기본 움직임 기술 (Fundamental Movement Skill)을 중심으로
- 초등 예비교사교육자의 일상 속 골프 경험과 의미
- 초등학교 5~6학년군 체육과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무용경연 참가 의미 탐색
- AI 기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체육수업에 적용 가능한 데이터 지표 탐색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