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만 2~5세 자녀를 둔 부모의 의생활 지도 실태 및 인식
이용수 29
- 영문명
- Status and perception of clothing life guidance of parents with children aged 2~5 years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김희진 안수정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8권 제3호, 5~2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만 2~5세 자녀를 둔 부모의 의생활 지도 실태 및 인식 조사를 통하여, 영유아기 의생활 지도 및 부모 지원 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2~5세 자녀를 둔 부모 33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자가 의생활 지도 관련 문헌들을 바탕으로 제작한 부모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만 2~5세 자녀를 둔 부모들은 일 상생활영역 가운데 의생활은 많이 지도하고 있지 않으며, 중요성 및 어려움에 대한 인식도 낮은 편이었다. 과반수의 부모가 의복 정리 및 관리를 어렵게 인식하였고, 57.8%의 부모만 이 의생활 지도를 하고 있었다. 또한, 부모들은 주로 인터넷과 가족 및 지인에게서 지도 정 보를 구하고 있었으며, 91.4%의 부모가 의생활 지도 관련 부모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없고, 필요성은 보통 및 필요함 정도로 인식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에게 영유아기 의 생활 지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 전문적인 능력을 높여주는 것과 부모의 요구를 파악 해 효율적 및 효과적으로 지원하고자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children’s clothing life guidance and parental support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of clothing life guidance among parents with children aged 2 to 5. This study targeted 339 parents with children aged 2 to 5 who are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used a questionnaire for parents creat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clothing life guidance-related literature. As a result of the study, parents with children aged 2 to 5 did not provide much guidance on clothing as an area of daily life, and their awareness of its importance and difficulty was low. The majority of parents perceived organizing and managing clothing as difficult, and only 57.8% of parents provided clothing life guidance. In addition, parents mainly sought guidance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family, and acquaintances, and 91.4% of parents had no experience participating in parent education related to clothing life guidance, and perceived the necessity as moderate or necessar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efforts need to be made to increase parents’ correct understanding, awareness, and professional ability regarding chidren’s clothing life guidance, and identify parents’ needs and support them efficiently and effective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