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빅데이터를 활용한 유치원급식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이용수 52
- 영문명
- Keyword network analysis through big-data on school meals at kindergartens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이진화 최춘영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8권 제3호, 81~10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유치원급식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분 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8년 6월 30일부터 2023년 8월 31일까지 총 3구 간으로 나누어 유치원급식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정제작업을 거쳐 추출단어 빈도를 바탕으로 키워드 200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1-mode matrix 를 작성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급식에 대한 주요 키워 드들은 1구간에서는 ‘학교’, ‘유아’, ‘지원’으로 나타났고, 2구간에서는 ‘유아’, ‘어린이집’, ‘지원’으로 나타났으며, 3구간에서는 ‘지원’, ‘학교’, ‘유아’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네트워 크에서 중심성 분석 결과, 1구간 연결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에서 공통적으로 나 타난 키워드는 ‘학교’, ‘학교급식’, 2구간은 ‘유아’, 3구간은 ‘지원’, ‘안전’, ‘학교’, ‘학부모’ 이었다. 이를 통해 유치원급식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유아를 둘러싼 환경과 관련된 키워드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치원급식과 관련된 주제들은 유아를 둘러싼 인적 변인(교사, 학부모)과 환경적 변인(학년, 학교, 어린이집)과 관련된 키워드, 개선방안에 관 련 키워드(지원, 안전)로 나타나 향후 유치원급식 관련 정책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 한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study analyzed how our society has perceived school meals at kindergartens through network analysis. To achieve this, data related to school meals at kindergartens were collected from June 30, 1998 to August 31, 2023 in three segments. Based on the frequency of words, 200 words were selected after filtering processes, which were converted to 1-mode matrix.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the major keywords related to school meals at kindergartens in first segment were ‘school’, ‘young children’, ‘support’, in the second segment were ‘young children’, ‘childcare centers’ ‘support’, in the third segment were ‘support’, ‘school’, ‘young children’. Second, in the overall network, common keywords for degree, closeness, and betweenness centrality in the first segment were ‘school’ and ‘school meals’, in the second segment, ‘young children’, and in the third segment were ‘support’, ‘safety’, ‘school’, and ‘parents’. It suggests that the social perception of school meals at kindergartens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interpersonal variables(teachers, parents), and environmental variables(grade, school, childcare centers), as well as keywords related to improvement measures(support, safety).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reference materials for future policy development in kindergarten meal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