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염지관 명상의 심리치료 사례 연구 (군 정신과 입원 우울증 환자)

이용수  12

영문명
A Case Study in Sati-Samatha-Vipassana Meditation Therapy--a soldier depressive patient
발행기관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저자명
김말환
간행물 정보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1권, 167~20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31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장병들이 군입대전 신체검사를 통해서, 정신과전문 진단을 통해서 군 생활의 부적응자 대부분은 군 입대를 취소하거나 집으로 돌려보내는 귀가조치를 한다. 그러나 소수의 현역 입영 장병들 가운데 우울증 등 정신적 문제로 군 생활 부적응자는 개인과 부모의 동의를 얻어 군 정신과 병동에 입원 치료를 받는다. 위 상담 사례자도 입영훈련과 더불어 자대 생활 5개월 만에 자살미수 자해 행위로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자이다. 정신과 군의관의 진단 결과 “내담자는 우울과 불면증이 높은 자로써, 새로운 환경과 낯선 사람들에게 접근하지 못하며, 자신에 대해 심한 부정적 감정을 갖고 있다.”고 했다. 상담자는 주 1회 정신과 병동을 찾아 명상치료 요법을 희망하는 환자들에게 명상과 더불어 개별 상담을 실시하던 중, 아래 내담자를 만나서 8주간 심리치료를 실시하였다. 심리치료 요법은 “몸을 풀어 주는 요가(스트레칭)동작과 마음의 산만함을 없애고 집중하게 하는 호흡법”과 그리고 마음속에 일어나는 마음의 느낌을 알아차리고, 그 느낌을 가만히 지켜보며, 무상하게 변하여 사라지는 것을 관찰하는 『염지관 명상』 (인경스님, 2005)을 중심 기법으로 진행하였다. 이 치료는 내담자의 우울과 불면증을 이해하기 위한 내담자의 내적 통찰과 대인관계의 개선에 중요성을 두고 접근하였다. 이 기간 중 게슈탈트 심리치료 기법 중 “빈 의자 기법”등 통합적 치료를 병행하였다. 첫날의 만남은 내담자의 마음을 열기 위한 촉진적 관계 형성을 위해 무조건적 공감과 수용에 역점을 두었다. 그리고 둘째 날에는 인성검사를 통해 내담자의 심리상태를 개관적 참고자료로 살펴보기 위한 심리검사를 실시하였다. 상담이 진행되면서 내담자는 “염지관 명상”이 무엇인가 자신에게 불안하고 불면에 시달리던 상태가 점점 좋아짐을 느끼기 시작한다는 긍정적 믿음에서 내담자와 보다 더 가까이 갈 수 있었고, 여러 기법들이 제공되면서 치료의 효과를 깨달을 수 있었다. 내담자는 요가로 몸과 마음을 이완하고, 호흡명상을 통해 마음을 집중하면서, 자신을 괴롭혔던 생각들을 알아차리고, 그 생각들을 차분하게 고요히 머물면서, 그 생각들이 무상하게 변해가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염지관 명상은 점차 두려워하였던 공포의 감정이 사라지고 본래의 본 모습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자신의 내면을 향할 수 있는 문을 열어 주게 되었다. 그 결과 주위를 부정에서 긍정적으로 따뜻하게 바라볼 수 있게 되면서 약물도 줄이게 되었다. 짧은 치료기간이지만 염지관 명상요법은 잃어버린 자기를 되찾아 우울 속에서 불면증으로 고생하며, 자살충동에 휩싸인 내담자를 본래의 삶으로 나아가는 치료에 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A soldier was hospitalized with an attempted suicide because of depressive patient. He clings to oneself as a distorted sense of self and dose not allow one to see the true nature of oneself. I would try to therapy for the client 8 weeks. Fist, as Breathing, Yoga and eating meditation progress, the client frees from compulsive mind and becomes relaxation, calmer. Second, as Samatha-Vipassana(念止觀)meditation practice, he could comprehend the feeling of body and mind. Sati(mindfulness of feeling), Samatha(stay and poise of feeling) and Vipassana (guard of feeling` chang and extinction). Gradually he could discover a number of things about consciousness hisself and attention. As his continuative practise ? writes in his meditation`s diary, he is alive and calming hisself, returning to the here and now. The essence of therapy is knowing that the person that you are with right now is the important person. This therapy is solving the client`s depression and insomnia, transforms every aspect of life. he could return to his nature mind almost.

목차

머리말
1. 사례연구의 이론적 배경
2. 심한 우울증상을 가진 내담자의 상담사례
3.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말환. (2007).염지관 명상의 심리치료 사례 연구 (군 정신과 입원 우울증 환자).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 167-208

MLA

김말환. "염지관 명상의 심리치료 사례 연구 (군 정신과 입원 우울증 환자)."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2007): 167-2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